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유방암, 경계를 늦춰선 안됩니다
상태바
유방암, 경계를 늦춰선 안됩니다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2.10.04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0년대 중반후 급증세...서구문화 노출 영향 분석

연간 유방암 발생 환자수가 2만명에 근접하고 있는 가운데 폐경기 여성의 비중이 커지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한국유방암학회(회장 조세현/이사장 박찬흔)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연간 유방암 발병 환자수는 총 1만 6398명으로 1996년 3801명에서 15년 사이에 4배 이상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인구 10만 명당 발생하는 암환자수를 의미하는 조발생률 역시 1996년 16.7명에서 2010년 67.2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주목할 점은 유방암 환자 가운데 5~60대 폐경 후 여성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회측에 따르면, 연령별 유방암 발생자 수는 40대가 37%로 가장 높았으며, 50대가 29.1%, 60대가 14%로 집계됐다.

지난 2006년 조사에서는 50대가 25.7%, 60대가 13%의 비중을 나타낸바 있으며, 당시 40대 환자의 비중은 40%였다.

40대의 비중이 축소된 반면, 5~60대의 비중은 확대된 것. 이에 따라 유방암 발병 중간 나이도 46세에서 49세로 높아졌다.

이와 관련 한국유방암학회 박찬흔 이사장은 “서양문화에 노출된 전후세대들이 5~60대에 접어들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며 “유방암 추이도 서구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5~60대 여성들이 폐경 후라고 안심하고 있다가 유방암에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며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올해 유방암의 달(10월)에 ‘2012 유방암백서’를 발간하고 대국민 홍보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방암 환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진단 비율이 높아지면서 생존율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회측에 따르면, 지난 1996년 76.2%에 달했던 2~4기 진단 비율이 2010년에는 47.5%로 급감했다.

또한,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진단받는 비율도 1996년 6.4%에서 2010년에는 32.7%로 5배 이상 높아졌다.

이에 따라 유방암의 조사망률은 3.7명에 불과했으며, 유방암 사망률도 10만명 당 5.3명꼴로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박찬흔 이사장은 “유방암이 예후가 좋고 재발율이 낮지만, 늦게라도 재발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