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약의 편의점 판매가 원점에서 맴돌고 있다. 약사회는 26일 임시대의원 총회를 열어 이 문제를 매듭 짓기로 했으나 결론이 나지 않았다.
찬반 양론이 팽팽했으므로 결국 투표까지 가는 상황이 연출됐다. 결과는 반대측이 141표로 찬성측 107표보다 34표 많았으나 과반수인 142표에서 한표가 모자라 부결됐다. 일반약 편의점 판매는 애초 국회에서 약사법 개정으로 처리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약사회의 극렬한 반대로 상정조차 되지 못했고 이후 국민 여론을 의식한 복지부와 약사회는 서로 협의로 문제를 푼다는데 합의했고 편의점 판매 의약품의 품목수 등을 정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약사회 집행부의 이런 행보에 대해 지부약사회나 분회약사회의 반대가 있었고 마침내 임총에서 대의원들의 투표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이 와중에서 찬성파와 반대파의 대의원 표심잡기가 치열했고 결과는 부결로 나타났다.
협의를 찬성하는 집행부 쪽은 부결된 만큼 협의를 계속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반대표가 많아 부담을 떨칠 수 없고 김구 회장 퇴진이라는 압박을 더 심하게 받게 됐다. 반대쪽 역시 과반수를 넘기지 못해 약국외 판매 반대 원동력을 잃게 됐다.
시간이 좀더 지나면 김구 집행부가 퇴진할지 아니면 그대로 남아 협의를 지속할지 그것도 아니라면 중단하면서 투쟁을 이어갈지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약사회가 어떤 결론을 내리더라도 그것은 이익단체의 몫이지만 국민건강과 편의라는 대세를 막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시대의 큰 흐름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일반약의 약국외 판매를 원하고 있다. 약사회 집행부와 약사들이 이런 흐름에 편승할지 아니면 역행할지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