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아리미덱스,조기유방암 치료적용 확대
상태바
아리미덱스,조기유방암 치료적용 확대
  • 의약뉴스
  • 승인 2003.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2차 약제로 사용 인정
아스트라제네카는 자사의 대표적인 제3세대 유방암 항호르몬 치료제인 아리미덱스 (성분명: 아나스트로졸)가 8일부터 효력을 발생하는 보험 고시개정에 따라 폐경기 이후 여성의 조기 유방암 보조치료로 투여될 경우 요양급여가 추가적으로 인정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가 9월1일 발표한 요양급여적용 고시개정에서 아리미덱스는 기존의 치료제인 타목시펜 사용 이후 2차 약제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색전증과 같은 타목시펜의 금기증이 있는 환자의 1차 치료로 투여될 때에도 보험가를 적용받게 됐다.

이미 지난 95년부터 폐경기 이후 여성의 진행성 유방암 보조치료로 요양급여를 적용 받아오고 있는 아리미덱스는 기존 표준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타목시펜과 비교, 유방암 재발율 억제에서 22%나 뛰어난 효능을 보여 진행성 유방암뿐 아니라 조기 유방암에도 유일하게 적응증이 추가된 제품이다.

아리미덱스의 요양급여적용 고시개정과 관련,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 정상설박사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는 “암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조기 유방암 발견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그러기 위해선 조기 치료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우수성이 검증된 최신 의학기술의 적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미 유방암 치료의 선진국인 미국, 일본, 독일 등에서는 조기유방암 환자의 아리미덱스 1차 투여에 대한 요양급여를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고시개정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이미 전세계적인 임상시험과 실제 치료를 통해 조기 유방암 치료에 대한 우수성이 확인된 아리미덱스와 같은 치료제의 보다 포괄적인 요양급여적용이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건복지부의 개정으로, 타목시펜 등과 같은 기존 항호르몬 보조요법과 비교, 검증된 유효성과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요양급여 제외에 따른 본인부담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치료 적용을 미루어왔던 폐경 이후 조기 유방암 환자들이 가장 큰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리미덱스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합성의 주 역할을 하는 아로마타제 효소를 억제하여 유방암 저지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아로마타제억제제로 올해 NCCN, 세인트갤런 (St. Gallen) 등과 같은 국제적 권위의 조기 유방암 가이드라인에 이미 사용권고가 공식 추가된 바 있다.



의약뉴스 이현정 기자(snicky@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