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관련 지원법 국회 통과...암센터 연구 개발 탄력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체로 열린 ‘의생명과학 최신 연구 동향’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에서는 바이오 신약과 항암신약 등에 관한 논의가 진행됐다.
정길생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은 “전 세계 제약회사는 바이오 신약 연구에 착수해 성과를 내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개발이 미진하다”며 “이는 핵심 기술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스크립스연구소 회장인 Richard Alan Lerner 박사는 “한국에서 놀라운 기술 발전과 인력, 기관들이 있고 바이오 산업을 육성할 자원들이 풍부하므로 이를 통합하고 종합적으로 엮어나가는 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러너 박사는 “한국의 정부 기관들이 항체 신약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항암신약 개발을 위해 국립암센터는 B&D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회에서 암관리법이 통과되면서 사업도 탄력을 받게 됐다.
국립암센터 이진수 원장은 “전 세계 항암제 시장은 연평균 13.3% 성장하고 있어 산업적 가치가 크다”며 “국가 주도로 항암제 개발 등 신약개발 주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 | ||
![]() | ||
▲ 참석자들은 국가주도의 항암제 개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
![]() |
실제로 백혈병치료제의 경우 노바티스의 글리벡, BMS의 스프라이셀 등이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약가협상 난항으로 인해 부작용은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진수 원장은 “국내사에서 개발된 신약 중 항암제가 3건이 있지만 글로벌 항암제는 아니다”라며 “국가가 주도하는 신약 개발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항암제 개발의 경우 비용에 따른 경제적 위험도가 높아 국내 제약사들이 항암신약개발보다는 개량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중심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회에서 암관리법에 통과됨에 따라 1조492억원의 국고지원이 가능하게 돼 앞으로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에 탄력을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