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병원도 도마위에, 한숨소리만

특히 최근 개원한 분당서울대병원에 대해서는 국가병원의 공익성 확보라는 원초적인 질문을 던져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분당병원은 애초 노인병원으로 특화하기로 했고 정부는 이에 2,700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지원했다.
그러나 현재 이 병원은 다른 병원과 마찬가지로 모든 과 진료를 하며 노인을 특별히 우대한다거나 전문치료 시설을 설치하고 있지 않다는 것.
본원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입원료의 50%가 병실료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장기환자를 위한 병상수가 적어 단기환자들은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는 6일실 이용을 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노조는 적어도 하루 입원료가 11만원 이상인 병실료를 내야 하는 현실은 서울대병원의 공익성과 맞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수의 성폭력 문제도 여전히 갈등을 빚고 있다. 병원은 해당 교수에게 진료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음에도 교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며 교수직마져 박탈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노조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병원측은 공공병원도 수익성이 있어야 경쟁할 수 있으며 나타난 문제들은 장기적으로 해결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