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쿠마모토 대학 연구진이 왜 비만이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을 야기 시키는지를 밝혀냈다며, 이 발견은 전문가들이 과체중의 건강 영향을 제한하는 치료를 표적으로 삼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연구진은 비만에 따른 건강 결과의 원인이 되는 지방 조직 내 저등급 염증을 야기시키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안지오포이에틴 유사 단백질 2(angiopoietin-like protein 2, Angptl2)라는 지방에서 나온 단백질을 확인했다. 쥐에게 있어서 Angptl2 수치가 지방 조직에서 상승됐다.
이 수치는 비만한 지방 세포 내에서 보통 발견되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더욱 증가했다.
높은 Angptl2 수치는 BMI가 높고 인슐린 수치가 높은 사람들의 혈액에서도 발견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Angptl2가 부족한 비만한 쥐들은 지방 조직 내에 염증이 덜했으며, 인슐린 저항성도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조직 내에 Angptl2 수치가 정상보다 더 높도록 만든 건강한 쥐들은 염증과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했다.
연구진은 Angptl2가 염증의 단계적 반응을 일으켜, 혈관을 개조하고, 대식세포(macrophages)라는 면역 세포를 끌어당긴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Angptl2가 비만과 이에 관련된 대사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분자 표적이라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 보고서는 ‘Cell Metabolism’에 게재되어 있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