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연구원 분석...정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외과 순으로 많아
동네 의원의 1년 평균 외래진료비가 1억9,000만원 이고 건강보험공단이 지불하는 금액은 약 1억 3,8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건강보험의 외해 진료환자수는 이비인후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원 수는 내과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8년도 의원급 의료기관 외래 진료비 지급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표시과목별 1일 평균 건강보험 외래 진료환자수는 이비인후과의원이 101명으로 최고였고, 그 뒤를 이어 정형외과 94명, 소아청소년과 85명, 신경외과 81명 순으로 나타났다.
![]() | ||
![]() | ||
![]() | ||
▲ 진료환자 수는 이비인후과가 제일 많고 병원수는 내과가 가장 많았다. | ||
![]() |
표시과목별 의원수는 치과와 한방과, 일반을 제외하면 내과가 3,502개소로 가장 많았고, 소아청소년과가 1,998개소, 이비인후과가 1,779개소로 그 뒤를 이었다.
표시과목별 의원 1개소당 건강보험 연간 외래 진료비 규모는 2008년도 기준으로 정형외과가 연평균 4억7,300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신경외과 4억700만원, 재활의학과 3억9,700만원, 내과 3억7,200만원, 이비인후과 3억5,300만원 순이었다.(분석대상 기관수가 1개소뿐인 핵의학과 제외)
지난해 연말 기준, 분석대상 전체의원 46,936개소의 연간 건강보험 외래 진료비는 의원 1개소당 평균 1억9,000만원이고, 이 중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금액은 1억3,800만원으로서 72.6% 였다.
분석대상 의원에 근무하는 의사수는 2008년말 기준으로 모두 54,724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석대상 의원 1개소당 평균 1.17명이 근무하고 있다.
표시과목별 의원 1개소당 근무 의사수는 병리과 2.36명, 영상의학과 1.46명, 산부인과 1.45명, 피부과 1.38명 순이었다.
표시과목별 의사 1인당 연간 건강보험 외래 진료비 규모는 2008년도 기준으로 정형외과가 연평균 4억1,100만원으로 최고였으며, 뒤를 이어 재활의학과 3억7,200만원, 신경외과 3억6,000만원, 마취과 3억2,000만원, 이비인후과 3억400만원 순이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