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품목당 수천만원 보전 중론
최근 의계의 성분명처방 불가론에 일부 국회의원들 까지 가세해 복지부 장관을 압박하면서 성분처방 시행이 상당기간 지연되거나 아예 되기 어려울 조짐을 보이자 제약계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그동안 성분처방에 대비해 한미 등 앞선 제약사들은 품목당 4천만원정도의 비용을 들여가며 생동성시험을 마쳤으나, 이 비용을 보전받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성분명처방이 시행돼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지난 달 말 국회 복지위에서 국회의원들은 김장관의 약사회 여약사위원회 면담 내용 보도를 놓고 "장관이 성분명 처방을 시행하겠다고 약속했느냐"고 추궁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김장관은 "성분명 처방은 대통령 공약사항"이라고 말한 뒤 "대체조제가 활성화되면 성분명처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 것이지 확실히 약속한 바는 없다"고 말했다.
이후 성분명처방은 약사회나 복지부나 의료계나 아무런 언급이 없는 채 시간만 보내고 있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약계와 제약사가 함께 살아가는 유일한 돌파구는 성분명 처방을 조속히 실현하는 일 뿐"이라며 "대통령 공약사항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누구의 약속을 믿겠느냐"며 반문했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