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중국괴질 아시아 확산 WHO 주의보
상태바
중국괴질 아시아 확산 WHO 주의보
  • 의약뉴스
  • 승인 2003.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에서 발생한 폐렴과 유사한 형태의 괴질이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WHO와 국립보건원이 주의를 당부했다.

국립보건원 방역과는 13일 '급성호흡기증후군 발생정보- 베트남, 홍콩' 자료를 통해 WHO가 병원 스텝에게 전파되는 심한 호흡기증후군을 보이는 비정형 폐렴에 대한 전세계에 주의당부했다고 밝혔다.

보건원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한명의 초발환자가 중국 상하이, 홍콩을 방문한 후에 급성호흡기증후군으로 입원치료를 받던 중, 20명의 병원직원이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증상은 처음에는 인플루엔자 유사증상(갑작스럽게 시작하는 고열, 근육통, 두통, 인후통)과 초기에는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을 보이며, 양측성 폐렴소견을 나타냈고, 일부는 증상이 심해 인공호흡이 필요할 정도였으며, 일부는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에서는 한 공공병원에서 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이 발생하여, 50명 직원중 23명이 열성질환을 보여 입원하여 관찰중이며, 8명은 흉부방사선소견상 폐렴 소견을 보이고 있고, 상태는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현재 조사가 진행중이며, 병원측은 병원에서의 전파 차단을 위한 관리노력을 하고 있으며, 아직 베트남 하노이 환자와의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괴질의 진원지로 알려진 중국 광동성에서는 지난 2월 305명의 비정형폐렴 환자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였으며, 사망자 2명에서 클라미디아 감염이 밝혀졌고 조사가 진행중이다.

WHO는 중국, 홍콩, 베트남에서의 유행이 병원 환경에 국한되어 발생하였으며, 환자를 돌본 의료진에게서 위험도가 높은것이 공통적인 특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과 홍콩 조류독감(A/H5N1)과의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 조사가 진행중이며, 베트남과 홍콩으로부터 검체를 수집하여 일본과 미국의 WHO협력센타에서 실험실적인 검사가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WHO는 본 유행의 원인이 밝혀지기 전까지 비정형폐렴환자는 barrier nursing techniques으로 격리치료하며, 의심환자에 대한 감시강화를 권고했다.

국립의료원은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를 통한 감시를 강화해야 하며, 현 발생상황에 대한 정보제공과 급성호흡기증후군 감시 및 보고체계 강화 등의 대책을 세웠다.

감염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감시 강화도 병행한다. 현 발생상황에 대한 정보제공, 급성호흡기증후군 및 비정형폐렴환자 보고체계 강화, 병원내 급성호흡기증후군 또는 폐렴 유행 발행시 즉시 보고, 의심환자에 대한 검체의뢰 및 검사체계 구축 등을 일선 병원에 당부했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