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3:53 (금)
관절염 약, '심장마비ㆍ뇌졸중 ' 줄여주나
상태바
관절염 약, '심장마비ㆍ뇌졸중 ' 줄여주나
  • 의약뉴스 이현정 기자
  • 승인 2008.03.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년 사용할 경우...18% 감소 효과 나타나
일주일에 1회 복용하는 류머티즘성 관절염 치료제가 관절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있어서 심장 마비와 뇌졸중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핀란드 ‘Jyvaskyla Central Hospital’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제네릭 약인 메토트렉사트(methotrexate)의 잇점에 대한 더 많은 증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약을 초기에 처방하는데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툴리키 소카(Tuulikki Sokka) 박사는 “이 연구는 환자들의 생명 차이를 우리가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 약 2천만명의 사람들이 신체가 외부 물질과 건강한 조직을 구분 못하고, 스스로를 공격할 때 발생하는 자기면역성 질환인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앓고 있다.

몇몇 약물은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염증을 감소시키며, 또 다른 약물들은 면역 시스템 반응을 낮추지만, 환자들을 쉽게 감염되게 하거나, 쉽게 암에 걸리도록 한다.

메토트렉사트는 암 치료제로써 개발됐으며, 세포 성장에 필요한 엽산의 인체 사용을 바꿈으로써 작용한다. 이 약은 치료 시작 후 3~6주 정도면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한다.

이번 연구는 15개국 4,30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류머티즘성 관절염의 원인과 영향, 약물의 가능한 잇점을 조사한 장기간 연구의 한 부분이다.

연구진이 운동, 흡연, 당뇨병과 같은 보통의 위험 요소들을 조정한 후, 메토트렉사트가 주어진 사람들에게서 가능한 건강 잇점들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1년간 메토트렉사트를 사용하는 것이 심장 마비 위험은 18%까지, 뇌졸중 위험은 11%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한편, 소카 박사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TNF(tumor necrosis factor)라는 염증 단백질을 막는 새로운 약물들도 심장 마비와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점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계열약에는 존슨 앤 존슨사(Johnson &Johnson)의 레미케이드(Remicade), 암젠사(Amgen Inc)의 엔브렐(Enbrel), 애보트사(Abbott Laboratories Inc)의 휴미라(Humira)가 포함된다. 이 약물들은 가격이 비싸서 환자들이 종종 즉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연구 보고서는 ‘Arthritis &Therapy’지에 게재되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