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8 17:13 (수)
장복심, “국내제약 발전위한 획기적 대책 시급”
상태바
장복심, “국내제약 발전위한 획기적 대책 시급”
  • 의약뉴스 김선아 기자
  • 승인 2007.06.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자사 급여 청구액 비해 훨씬 못미쳐
국내 개발 신약의 보험급여 청구액이 다국적 제약사의 급여청구액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로 나타나 국내 제약산업의 육성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복심 의원(열린우리당)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출한 ‘국내 신약 연도별 보험급여 청구 현황’ 자료와 ‘국내 신약 해외 수출 현황’ 자료를 분석,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6년간 국산 신약 11개(약사법 상 신약으로, 천연물 신약 제외) 가운데 비급여와 미등재 품목을 제외한 6개 품목의 국내 보험급여 현황을 살펴본 결과 264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3년간 신약수출은 2품목에 575억원에 불과했다.

이는 다국적 제약사인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의 플라빅스정의 지난 한 해 동안 국내 보험급여 청구액인 1,069억원과 한국화이자의 노바스크의 996억원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이다.
국내 보험급여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최초 신약인 SK케미칼의 선플라주에 2001년 22억4,900만원이 지급된 이후 2002년 4품목(대웅제약 대웅이지에프외용액, 동화약품공업 밀리칸주, 중외제약 큐록신 추가)에 대해 27억900만원, 2003년 5품목(LG생명과학 팩티브 추가)에 41억5,500만원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이후 2006년까지는 6품목(종근당 캄토벨주 추가)에 각각 39억800만원, 60억4,500만원, 72억7,100만원으로 지난 6년간 총 264억3,600만원에 불과했다.

국내 신약이 전체 건강보험 약제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미미해서 ▲2004년 0.064% ▲2005년 0.085% ▲2006년 0.088%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식약청의 ‘국내 개발 신약 수출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6년까지 수출을 한 품목은 단 2품목에 불과했고 그 금액도 575억원에 불과해 국내 신약의 해외 수출도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4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국내 최초 글로벌 신약으로 명성을 높인 LG생명과학의 항생제 팩티브가 그나마 체면치레를 하고 있는 정도로 팩티브는 2004년 이후 2006년까지 3년 동안 미국 등에 총 574억원을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04년 249억원 ▲2005년 233억원 ▲2006년 92억원으로 그나마 매년 수출액이 감소하고 있으며 11년 동안 3,000억원의 연구개발비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나머지 신약 가운데 대웅제약 이제에프외용액이 지난 2005년 요르단에 4만1,300달러(한화 4,130만원, 1,000원 환율 적용 시). ’06년 미국과 요르단에 8만1,800달러(한화 8,180만원, 1,000원 환율 적용 시)을 수출하는 등 2년 동안 12만3,100달러(한화 1억2,300만원, 1,000원 환율 적용 시)를 수출한 것이 고작이다.

반면에 천연물 신약의 경우 동아제약 스티렌은 ▲2005년 207억원 ▲2006년 395억원, SK케미컬의 조인스정은 ▲2005년 105억 ▲2006년 116억원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복심 의원은 “한미 FTA협상 체결로 국내 제약산업의 위기에 대해 많은 우려가 있는 만큼 국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신약 개발에 있어서 우리나라 개발 환경에 맞는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단기적으로 합성 신약보다 적은 비용으로 개발이 용이하고, 합성 신약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신약 및 개량신약 개발에 대한 지원책 및 해외 수출에 대한 국내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 산·학·연·병원을 연계한 국가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개발단계에서 해외로 기술수출 된 건이 35건에 달하는데, 이는 열악한 국내 제약사들이 수년이 걸리는 신약개발 과정에 필요한 막대한 투자를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 때문”이라며,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신약개발 연구 성과가 로열티와 단발성 기술료로 끝나지 않고 글로벌 신약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