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부광약품 '레보비르' 거대품목 가능성 높다
상태바
부광약품 '레보비르' 거대품목 가능성 높다
  •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
  • 승인 2006.07.3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시험 내성 바이러스 억제력 탁월

국내 11번째 신약으로 식약청 허가를 획득한 부광약품의 만성 B형 간염치료제 레보비르의 거대 품목화 가능성이 높다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31일 미래에셋증권 황상연 연구원은 “기존 거대 품목 제픽스가 약 1~2년 투여 후 바이러스의 내성 발현율이 높다는 점에서 신규 치료제의 출시 요구가 높았던 게 사실”이라며 “레보비르의 경우 앞서 임상시험을 통해 탁월한 내성 바이러스 억제력을 보인 만큼, 이를 기반으로 거대 품목화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앞서 임상결과, 부광약품의 레보비르는 약 6개월 투여 후 2년여까지 초기 바이러스 농도를 1/1,000까지 억제하는 탁월한 바이러스 억제 능력을 보인 바 있다.

이어 “국산 신약으로서의 신약 침투가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인지와 텔레부딘(노바티스) 등 경쟁 제품의 도전 등은 향후 부담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B형 간염치료제 시장은 연간 매출 600억원을 상회하는 규모이며, 라미부딘(제픽스)과 아데포비르(헵세라)라는 GSK사의 두 제품이 과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제픽스는 약 4년 만에 단일 제품 매출 기준 2위에 해당하는 거품품목으로 급성장, 한국 B형 간염치료제 시장의 성장성을 입증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황 연구원은 “국내 B형 간염치료제 시장은 최근 보험급여 기간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반면,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새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 “그간 국산 신약은 협소한 한구 시장이 규모로 인해 그 의미가 평가절화돼 왔지만, B형 간염 만큼은 한국 시장이 전세계의 약 25%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라는 점에서 이번 출시는 차별성을 지닌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