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의협 지도부가 정부의 일방적인 의료 정책과 현 사태의 책임을 강하게 비판하며, 어려운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한 의료계의 방향을 제시했다.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의장 김교웅)는 2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제77차 정기대의원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총회에서 김교웅 의장은 낡은 방식 탈피와 대국민 소통 강화를, 김택우 회장은 정부의 정책 실패 인정과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던졌다.

김교웅 의장은 개회사에서 27년 전 대전 유성에서 열렸던 총회 당시와 현재의 의대 신증설 반대 등 현안이 유사함을 언급하며, 이는 충분한 숙론과 거버넌스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지난 1년간 의료농단으로 의료계가 비가역적인 상황에 놓였으며, 정부의 권위주의적 행정으로 의료 환경이 무너지고 젊은 의사들의 미래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웠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과거 방식을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외적 관심을 받지 못하는 우리만의 행동으로는 의미가 없으며, 국민이 공감하지 않으면 외면받기 쉽다고 진단했다.
김 의장은 “국민에게 다가가는 의사 본연의 자세를 갖고 국민이 오케이 할 때까지 노력해야 정부 정책 문제에 휘둘리지 않고 국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며 “집행부에 현실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행동 매뉴얼 마련을 당부하며 총회가 화합과 새로운 다짐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택우 회장은 지난 1월 출범한 43대 집행부가 무너져가는 의료 시스템을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해왔다는 것을 밝혔다.
그는 “최근 숭례문 궐기대회를 통해 확인된 젊은 의사들의 절박한 외침에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며, “미래 주축인 의대생에게 준회원 자격을 부여하고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현안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지난 1년 이상 지속된 의료 농단 사태가 국민과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비판하며, 2000명 의대 증원 결정 과정의 불투명성, 의료계에 대한 존중 부재, 장관의 무기력함과 차관의 부적절한 언행이 사태를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또 “20년간 이어진 정부의 정책 실패가 현재의 필수의료 및 지방의사 부족이라는 착시현상을 불러왔다”고 주장하며, 정부의 책임 있는 자세와 신뢰 회복이 의료 시스템 재건의 선결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계획과 관련해 다가오는 정치적 변화에 대비해 대선기획본부를 구성해 전문가로서 정책 타당성을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며 정책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발의 법안 초기 대응, 공공의대 설립 대응, 군의관 및 공보의 복무 기간 단축 법안 마련 등 구체적인 대응 방안도 언급했다.
나아가 김 회장은 “현재의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의료계의 단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젊은 세대와 선배 의사들 간의 상호 이해와 배려를 통해 '께 멀리 가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