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의협 대선기획본부가 대선 주자들에게 의ㆍ정 갈등 해결을 공약에 포함할 것을 주문, 이목이 쏠린다.
대한의사협회 대선기획본부 공동본부장을 맡고 있는 민복기 회장은 최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의ㆍ정 갈등 해결과 의대생 보호를 반드시 대선 공약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먼저 민 본부장은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 위기 상황에 대해 “단순한 집단행동이 아니라, 의료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젊은 세대의 절박한 외침이자 잘못된 정책에 대한 정당한 문제 제기”라며 “한창 배워야 할 학생들이 강의실이 아닌 거리에서 정부 정책의 부당함을 호소하고, 1년을 유급당하고 본업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현실은 단순한 갈등을 넘어 대한민국 의료의 뿌리를 뒤흔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학생들에게 유급이라는 징계를 통보하고 압박하는 것은 피해자에게 협박을 가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교육 정상화에 앞서 학생들이 돌아올 수 있는 여건과 신뢰를 조성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정치권을 향해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의정 갈등 해결과 의대생 보호를 대선 공약에 명확히 포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민 본부장은 의료계가 단순한 요구를 넘어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 대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 구축이 우리의 목표”라며 ▲지속 가능한 의료 시스템 구축, ▲미래 의료를 위한 성장 동력 확보, ▲모두가 행복한 의료 환경 조성을 3대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 가운데 고령화 사회와 만성질환 증가에 대비,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사회 통합 커뮤니티 케어를 활성화해 1차 의료 중심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의료 제공체계를 확립, 국가 책임을 강화하며, 공백 없는 서비스 기반 마련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보건부 독립을 통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전공의 교육 혁신을 통해 체계적인 수련환경을 조성하며, 건강보험 거버넌스 개편을 통해 의사 참여를 확대하고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더불어 디지털 헬스, AI, 바이오헬스 등 미래의료 환경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의료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의료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의료 접근성을 강화하고 인력의 균형 있는 분포를 유도하며, 의료분쟁 예방 및 신뢰 회복을 위해 공정한 분쟁 해결 방안 마련 및 제도 정비를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톹ㅇ해 의료 서비스의 형평성을 높이고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의료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것.
민 본부장은 “의료는 단순한 산업이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국가의 근간이며,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제 의료계는 요구를 넘어, 국민과 함께 미래를 설계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각 정당과 대선 후보들이 이 절박한 책임에 응답해야 할 시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