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의협이 정부에 의대생들과의 대화를 요구했다.
신뢰를 바탕으로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그렇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책을 밀어붙인다면 공멸하게 될 것이란 경고다.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홍보이사겸대변인은 28일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경상남북도를 중심으로 한 역대 최악의 산불이란 국가재난사태와 겹쳐 전국 의과대학생에게 제적이라는 재난적 상황이 눈앞에 닥쳐 왔다”며 “각 의대 학장, 총장들은 현 국가재난사태에 학생들의 재난적 상황을 더해 혼란을 가중시키지 않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집행부가 의대생 복귀 문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과 관련, 학생들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협회는 학생들이 독립적인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 결정할 것으로 믿는다”며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왜 의협이 투쟁할테니 학생들은 돌아가라는 메시지를 주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는데, 만약 협회가 그런 주장을 하면 결과물이 좋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이는 의대생들을 믿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반박했다.
오히려 “책임이 없는 사람이 이야기하는 건 쉽지만, 책임이 있는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은 어렵다"면서 “책임이 없는 사람이 쉽게 이야기하면서, 책임 있는 사람이나 단체를 비난하는 행동은 옳지 못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의대생에게 보낸 서신과 관련해서는 정부와 의대생이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의대생들에게 더는 주저하지 말고 강의실로 돌아와 주길 바란다는 내용의 서신을 발홍한 것으로 보도됐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정부는 대통령 권한대행의 서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신뢰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정부가 지금과 같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로 일관한다면 공멸의 길만 남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김 대변인은 진정한 의료개혁을 위해선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멈추고, 의료계, 국회와 함께 논의를 시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정부는 1년 임기로 운영된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 활동기한이 종료돼 이를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의료개혁을 서둘러 추진하지 않으면 큰 문제가 발생할 것처럼 국민들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과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사안, 그리고 첨예한 이해관계가 얽힌 어젠다들을 나열하며 모든 의료개혁이 당장 완성될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이 가운데 “협회는 지난해 4월 의개특위 출범부터 중단을 요구하며 참여하지 않고 있다”면서 “의료계의 신뢰를 짓밟는 일방적 정책추진의 철회와 함께 의-정간 충분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합리적 정책을 도출할 것을 요청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어설픈 설계도로 우리나라 의료체계를 왜곡하는 일을 멈추고, 의료계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길 바란다”며 “당장 시급한 의료현장 문제부터 의료계와 정부가 협의를 통해 해결해나갈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