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0:01 (금)
“의대생, 이달 안에 돌아와야 교육 가능”
상태바
“의대생, 이달 안에 돌아와야 교육 가능”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5.03.26 1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 광주시의사회 총회...“의료계 문제, 선배들이 정부와 풀어야”

[의약뉴스] 교육부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이 25일 열린 광주광역시의사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의대생 3월 복귀, 조건부 2026년 의대 정원 동결이라는 입장에 대해 설명했다. 

의대생들이 3월 말까지 복귀해야한다고 한 것은 별다른 조치없이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게 김 지원관의 설명이다.

▲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
▲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

앞서 교육부 이주호 장관은 “정부는 학생들의 3월 말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모집인원에 대해 의대 총장들의 건의에 따른 자율적 의사를 존중하고자 한다”며 “다만 3월 말까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총장들이 건의한 정원 조정안은 철회되고, 입학 정원은 5058명으로 유지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김 지원관은 “왜 3월 말이고, 돌아오면 3058명이냐는 말이 많은데, 3월 말이라고 한 것은 압박을 위해서가 아닌 대학 교육과정상 3월 말까지 돌아와야 별다른 조치없이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휴학을 승인하고, 학사 유연화를 한 것은 정부가 한 발 물러난 것이 아닌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또 “나라에 법이 있듯, 학교에도 학칙이 있는데, 의대생에게만 별도의 학칙을 적용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며 “지난해 학칙을 그대로 적용하면 의대생들이 피해볼 수 있기에 별도의 학칙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특례를 마련했지만, 올해는 특례를 마련할 명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지원관은 의대생들이 돌아와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의대생들을 제적시키고 싶은 마음은 1도 없다”며 “의대생들도 대학 안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발맞춰 나가야지 잘 자라고 건강하게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필수의료 패키지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잘 모르지만, 의대생들이 졸업하고 근무해야할 의료계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는 선배 의사들이 해결해야한다고 본다”며 “의료계 문제는 선배 의사들이 정부와 해결하고, 의대생들은 학교로 돌아와야한다.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