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지난 21일을 기점으로 일부 의대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이를 긍정적으로만 봐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세대ㆍ고려대 등 일부 학교에 따르면 복학 신청 마감 기한인 지난 21일까지 절반 가까운 학생들이 돌아오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대생들의 동맹 휴학이 조만간 마무리될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의대 교수들은 낙관적인 상황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의대 교수들은 절반 가까운 학생들이 복귀했지만, 설득 과정 없이 학생들을 처벌로 위협해 얻어낸 결과이므로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학생들이 복학 신청을 했더라도, 정부 정책과 학교에 대한 불만이 여전해 수업을 거부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의대 교수 A씨는 “지난 21일에 학생들이 많이 복귀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지만, 이 일을 긍정적으로 봐야 할지 모르겠다”며 “복학 신청을 곧 문제 해결의 지표로 봐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복학은 정부와 학교가 강도 높은 처벌을 예고해 만들어진 결과”라며 “학생들이 여전히 불만이 있는 상태에서 복학하더라도 수업에 들어오지 않는 일도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대 교수들은 학교와 학생들이 대화하며 타협하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비판했다. 학교와 학생이 상호 신뢰를 잃어버린 상황이 이어지면, 언제라도 갈등의 불씨가 커질 수 있다는 것.
의대 교수 B씨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복학을 독려하기 전에 학장과 학생의 대화와 같은 자리를 가졌어야 한다”며 “정부와 학교는 일방적으로 학생들의 복귀만을 요구할 뿐,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았다”고 질책했다.
이어 “대화와 타협이 없는 상태에서 학생들이 돌아오더라도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기 때문에 언제라도 다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며 “학교와 학생이 서로를 믿지 못하게 된 상황이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정부와 학교가 학생들이 복귀하면 의대 교육 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홍보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학생들이 일부 복귀했으니, 이에 맞는 교육 대책을 빠르게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A씨는 “정부와 학교는 학생들이 돌아오면 의대 교육이 정상화되고 문제가 풀릴 것처럼 홍보하고 있다”며 “이는 잘못된 홍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와 학교가 대외적으로 발표했던 것처럼 학생들을 제대로 교육시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와 학교가 명확한 교육 대책을 내놓지 않은 상태로 학생들이 늘어나면 교육 현장은 감당할 수 없고, 의료 교육의 질 저하가 심각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