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동맹 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 여부에 따라 의대 정원 규모를 결정하겠는 정부의 방침에 시도의사회장들이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의협회관에서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회의를 개최하고 정부가 제안한 조건부 의대 정원 제안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교육부 이주호 장관은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에서 “대학 총장들의 제안을 수용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결정했으나,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입학 정원은 지난해 정한 5058명이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의협은 입장문을 통해 “의협은 정부에 24ㆍ25학번 7500명을 어떻게 제대로 교육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며 “발표를 보면 결국 각 의과대학에 교육의 내용을 맡겨 놓은 형국으로, 정부의 그동안의 발언이 공허했음을, 그리고 그 무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힐난했다.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회의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최정섭 회장(광주광역시의사회 회장)은 “이날 시도의사회장 회의에선 정부 발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며 “시도의사회장들은 다양한 의견을 의협 집행부에 전달했고, 집행부는 시도의사회장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숙고해,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의협 집행부에 전달된 시도의사회장들의 의견 중에는 의대 정원이란 숫자에 매몰되지 말고, 의료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에 주안점을 두고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서울특별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의대 정원 증원이란 숫자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계에 있는 더 중요한 문제, 필수의료나 의료사고특례법 등에 대한 해결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이에 더해 면허관리원을 통한 자율징계권까지 얻어내야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 의대 정원 숫자는 정부와 어느 정도 타협하면서 해결 방안을 찾아나가야한다”며 “이제는 전공의, 의대생 복귀를 생각해야할 시점응로, 이를 위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