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2025학년도 의대 교육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가 다른 분석을 내놨다.
교육부 이주호 부총리는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2025학년도 의대 교육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의원들이 의대생들의 복학 현황과 함께 2024년도 입학생과 2025학년도 입학생이 동시 교육 받아야 하는 환경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묻자 학교들과 협의해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답한 것.

이 부총리는 “일단 학생들이 돌아오기만 하면 교육에는 큰 문제가 없다”며 “현재 대다수 대학에서 2025학년도 1학기 과목 개설 교원 및 강의실 배정 등을 완료해 24ㆍ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24학번과 25학번이 겹쳐 신입생이 두 배가 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 부분은 두 학번을 분리해 교육시켜달라는 요구가 있다”며 “분반을 하거나 시차를 두고 교육하는 방안을 개별 학교와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교육부가 의대생들이 돌아오기만 하면 문제가 없다는 답변에 의료계는 정부가 잘못된 답만 내놓고 있다고 힐난했다.
정부가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에서 요구한 마스터플랜은 공개하지 않고 설비가 갖춰졌으니 교육할 수 있다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근시안적으로 시설과 설비만을 갖췄다고 주장해도 의료계에서 지적하고 있는 교육의 질 저하는 막을 수 없다는 것.
의료계 관계자 A씨는 “의료계가 그동안 정부에 요구한 것은 바로 의료교육에 대한 마스터플랜”이라며 “정부가 마스터플랜을 내놓지 않아 의료계도 대화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교육부는 학생들이 돌아오기만 하면 의대 교육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의대 교수들이 보기엔 다르다”며 “두 배 가까이 늘어난 학생들을 어떻게 제대로 교육할 수 있을지 정리된 대책이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의대 교육은 단순히 강의실과 교수가 갖춰진다고 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늘어난 학생들에게 어떻게 현장 실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지 대책도 안 보인다”고 꼬집었다.
정부가 2월 중으로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던 의대 교육 대책과 2026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에 대한 입장을 빨리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정부는 1월부터 계속 2월에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었지만 2월이 거의 끝나가는 지금까지도 발표된 내용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책을 결정하는 정부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예고한 뒤 말이 없으면 의료계는 기다릴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가 발표하겠다고 했던 대책을 내놔야 대화를 시작해 의료 대란을 풀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