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0:20 (금)
[ASCO GU 2025] 다트로웨이, 요로상피암에서도 가능성 확인
상태바
[ASCO GU 2025] 다트로웨이, 요로상피암에서도 가능성 확인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2.15 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ROPION-PanTumor01 분석...치료 이력 많은 환자에서 긍정적 결과 확보

[의약뉴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의 TROP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DC) 다트로웨이(성분명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가 요로상피암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이어가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미국임상종양학회 비뇨생식기암 심포지엄(ASCO GU 2025)에서는 다양한 고형종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TROPION-PanTumor01 임상 1상 중 이전에 면역항암제를 포함, 한 차례 이상의 전신 치료 이력이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3/4기 요로상피암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중앙 추적 관찰 기간은 10.0개월로, 40명의 환자가 다트로웨이를 투약했으며, 8명이 치료를 유지하고 있었다.

40명의 환자 가운데 24명(60%)이 국소 진행 또는 전이 단계에서 3차례 이상의 치료 이력이 있었고, 36명(90%)는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이력이 있었으며, 33명(83%)는 파드셉(성분명 엔포투맙베도틴, 아스텔라스)을 투약했다.

다만, 이전에 TROP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 투약 이력이 있는 환자는 연구에 참여할 수 없었다.

▲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의 TROP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DC) 다트로웨이(성분명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가 요로상피암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이어가고 있다.
▲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의 TROP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DC) 다트로웨이(성분명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가 요로상피암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이어가고 있다.

분석 결과, 연구진이 평가한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30.0%로 모두 부분반응(Partial Response, PR)이었으며, 독립적 검토위원회가 평가한 객관적 반응률은 1명의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을 포함, 25.0%로 보고됐다.

중앙 추적관찰 기간까지 반응 지속기간(Duration of Reponse, DoR)은 중앙값에 이르지 않았으며, 반응이 나타난 환자의 76.2%가 6개월까지 반응을 유지했다.

독립적 검토위원회가 평가한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6.9개월로 집계됐다.

치료와 관련한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은 55%에서 보고됐으며, 심각한 이상반응이나 4~5등급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치료와 관련한 이상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 용량 감량, 일시 중단은 각각 8%와 20%, 35%에서 발생했다. 또한 2명의 환자에서 약물과 관련한 2~3등급 간질성 폐렴이 보고됐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이전 치료 이력이 많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에서 다트로웨이가 관리 가능한 수준의 안전성 프로파일로 고무적인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