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신임회장이 2025년도 의대 교육에 대한 정부의 마스터플랜을 촉구했다.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은 8일 회장 당선 직후, 그리고 9일 의협 출입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연이어 정부의 결단을 요구했다.
회장으로 당선된 직후, 김 회장은 “잘못된 의료 개혁이라는 것이 이미 밝혀졌고, 국민 55% 이상이 잘못된 의료 개혁을 멈춰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상황”면서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을 추진했던 대통령이 궐위 상태이기 때문에 대통령과 함께 이 정책을 준비한 사람들이 책임 의식을 가지고 정책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책을 멈춘 후 의료계와 함께 어떻게 문제를 풀어갈지에 대한 논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며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 회장이 당선된 후 정부와 여당에서는 신임 의협회장과의 대화를 요청했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9일 오전 회의에서 “조속히 의정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께 머리를 맞대고 대화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고,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김 회장에게 “유연한 자세로 소통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김 회장은 정부가 먼저 2025년도 의대 교육 방안에 대한 설명해야한다고 일축했다. 정부가 먼저 2025학년도 의대 교육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

김 회장은 9일 의협 출입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2025년 정시모집이 진행돼 입시를 되돌릴 수는 없겠으나, 잘못된 것은 바로잡아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오히려 주무 장관이 책임을 지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제 최상목 권한대행이 정책의 최종 결정권자일 수 있다”며 “결제 해지 차원에서 권한대행으로서 이 문제 사태 해결에 본격적으로 나서달라고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2025년 의대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반드시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하고, 이 것이 전제돼야 2026년도 의대 교육 계획 또한 논의ㆍ검토할 수 있다”며 “현재 2026년도 정원을 증감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우선순위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금까지 의료계가 먼저 어떤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는 식의 요구를 받아왔지만 문제를 만든 곳에서 이를 어떻게 해결할 지에 대한 대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며 “잘못된 의료개혁 정책들에 대한 중간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정책을 어떻게 개선하고 수정 또는 폐기할 것인 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이 여기까지 흘러온 것은 정부가 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할 것이라며 안이하게 대처했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의료계는 수많은 데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정부가 이를 제대로 수용하지 않아 문제가 악화됐다”고 일갈했다.
이에 “우선 정부의 마스터플랜을 보고 이에 대한 내부 논의를 거쳐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할지를 결정하는 게 순서”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택우 회장은 정부와의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의사 총파업 등 대대적인 투쟁을 감행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투쟁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정부가 내민 제안이 의료계를 마지막 코너까지 몬다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하나”라고 역설했다.
그러나 “이런 일이 벌어지기 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정부ㆍ정치권에서 새로운 협의체 구성 요구가 나오는 것에 대해 추이를 지켜보고 있지만, 의료계가 먼저 상황을 예단하고 말을 꺼낼 이유는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