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0:01 (금)
인수인계 앞둔 약사회, 회무 공백 우려
상태바
인수인계 앞둔 약사회, 회무 공백 우려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5.01.02 0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책부회장 비상근 전환...“회무 연속성 위한 방안 고려해야”

[의약뉴스] 대한약사회가 인수인계 과정에서 임원 부재로 정상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약사회는 지난 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 과정에서 다수의 임원이 선거운동을 이유로 사퇴했다. 여기에 더해 일부 임원들은 일신상의 이유로 근무 형태를 바꾸기도 했다.

▲ 대한약사회장 선거 이후 약사회 회무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 대한약사회장 선거 이후 약사회 회무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대한약사회 정책의 컨트롤 타워인 김대원 정책부회장도 비상근으로 근무 형태를 전환할 예정이다. 약사회 관계자는 “김대원 부회장이 여러 이유가 있어 상근으로 근무하던 중에 업무 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반 상근 근무를 했었다”며 “하지만 이번 달부터는 반 상근 근무마저도 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비상근으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대면 진료 법제화, 성분명 처방 법제화, 의협 집행부 교체 등 보건의료계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김 부회장의 비상근 전환으로 약사회의 정책 관련 회무가 멈출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 집행부 출범을 위한 인수위원회가 오는 8일부터 활동을 시작하지만, 정식 업무를 수행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약사 A씨는 “약사회에 상근 부회장이 한 명도 없으면 회무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실시간으로 정책 현안에 대해 논의하거나 정부 부처에서 주최하는 회의에 참석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권영희 당선인이 새 집행부를 가동하는 시점은 3월 중순부터인데, 그때까지 약사회가 제대로 일하지 못할 수도 있다”며 “비대면 진료 법제화, 성분명 처방 법제화 등 정부ㆍ국회와 소통해야 할 일이 많은 시점에 업무 공백은 약사사회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약사회가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신임 부회장을 임명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부회장 임명은 약사회 대의원 총회에서 인준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최광훈 회장의 임기가 약 2개월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임의로 부회장을 선임한다면, 대의원들의 반발을 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약사 B씨는 “부회장 임명은 대의원 총회에서 인준받아야 하는 사안이어서 최 회장이 임의로 할 수 없다”며 “사후보고 형식으로 하기에도 부담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선거 이후 집행부 교체 시기에 임원이 부족해 회장이 임의로 부회장을 임명한 사례가 있었지만, 모두 대의원 총회에서 지적을 받았다”며 “최 회장이 과거 사례를 참고한다면 새 부회장을 임명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사 임명은 이사회 보고만 거치면 할 수 있다”며 “회무 공백을 막으려면 상근 부회장 대신 상근 이사를 새롭게 임명하는 방법도 있다”고 전했다.

특히 “큰 현안이 없는 상황이었다면 회무 공백의 타격이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지금은 급변하는 시기라는 점이 변수”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