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보건복지부가 24일, 새 약무정책과장으로 강준혁 서기관을 선임해 약사사회의 이목을 끌고 있다.
강준혁 서기관은 보건산업진흥과, 질병정책과, 대변인실 홍보기획담당관실 등에서 근무한 행정고시 출신 인사다.

약무정책과장이 바뀌자 약사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비대면 진료 법제화를 시작으로 의약품 배송, 화상투약기 규제샌드박스 연장, 성분명처방 등 다양한 현안이 대기하고 있어 정부와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한약사회 또한 새 집행부 출범을 앞두고 있어,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것.
약업계 관계자 A씨는 “약사회 새 집행부 출범을 앞두고 새로운 인사가 약무정책과장에 선임되면, 원활한 소통까지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다”며 “새 약무정책과장과 약사회의 새 대관 담당자가 서로 업무를 파악하고 제대로 의견을 교류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약무정책과에 약사 출신 공무원이 없다는 점도 변수”라며 “약사사회 현안이 어떤 의미인지 파악하고, 약사회와 소통하기까지 조금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산업계와 약사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약사회가 이전보다 더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화상투약기 확대, 약 배달 논의를 앞둔 상황에서 과거처럼 원칙만 강조하거나, 약사 직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는 복지부를 설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
약업계 관계자 B씨는 “약사 출신이 아닌 약무정책과장이 선임된 상황에서 약사회는 약 배달부터 화상투약기까지 산업적 측면에서 의약품에 접근하는 사업들에 대응해야 한다”면서 “약사회가 과거처럼 약사 직능의 중요성과 원칙만 강조하며 협상장에 나서면 실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3자의 시각으로 봤을 때 납득할 수 있는 근거들을 제시해야 한다”며 “대중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면, 약사들의 주장은 직능이기주의로 폄하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