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7:42 (금)
보건ㆍ사회복지업 일자리 13만 개 증가, 여성ㆍ고령 비중 확대
상태바
보건ㆍ사회복지업 일자리 13만 개 증가, 여성ㆍ고령 비중 확대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11.23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산업 내 비중 12.4%, 1년 사이 0.5%p 확대...의약품 제조업도 늘어

[의약뉴스] 보건ㆍ사회복지업의 일자리가 여전히 가파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간한 2024년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현황에 따르면, 지난 2분기 현재 보건ㆍ사회복지업의 일자리는 총 259만 개로 전년 동기대비 13.0만 개, 5.3% 증가했다.

산업 대분류 가운데 일자리가 5만 개 이상 늘어난 업종은 보건ㆍ사회복지업이 유일했으며, 사업ㆍ임대업이 3.2만 개, 협회ㆍ수리ㆍ개인이 3.0만개로 뒤를 이었다.

▲ 지난 1년 사이 본건ㆍ사회복지업에서 13만 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 지난 1년 사이 본건ㆍ사회복지업에서 13만 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이에 따라 전 산업에서 보건ㆍ사회복지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12.4%로 전년 동기대비 0.5%p 확대됐다.

산업 중분류로는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0.4만 개가 늘었고, 협회 및 단체가 2.8만개, 보건업이 2.6만 개로 뒤를 이었다.

▲ 보건ㆍ사회복지업에서 여성의 비중이 소폭 증가했다.
▲ 보건ㆍ사회복지업에서 여성의 비중이 소폭 증가했다.

보건ㆍ복지업 일자리 중 여성과 고령의 비중은 더욱 늘어났다. 

성별로는 보건ㆍ사회복지업에서 늘어난 일자리 13.0만 개 중 여성이 10.3만개, 남성은 2.7만개를 차지했다.

보건ㆍ사회복지업 일자리 내 성별 비중은 여성이 82.7%에서 82.9%로 소폭 증가했으며, 남성은 17.3%에서 17.1%로 소폭 감소했다.

▲ 보건ㆍ사회복지업에서 60대 이상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 보건ㆍ사회복지업에서 60대 이상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에서 10.8만 개가 늘었고, 50대에서는 2.7만 개, 30대는 1.1만 개가 늘었으며, 20대 이하는 1.6만 개가 줄었고, 30대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보건ㆍ사회복지업 일자리 내 60대 이상의 비중은 28.8%에서 31.5%로 크게 늘어 30%를 넘어섰다.

반면, 50대는 22.0%에서 21.9%, 40대는 18.9%에서 18.0%, 30대는 16.0%에서 15.6%로, 20대 이하는 14.3%에서 13.0%로 일제히 감소했다.

▲ 의약품 제조업의 일자리도 확대됐다.
▲ 의약품 제조업의 일자리도 확대됐다.

한편, 제조업 내에서는 의약품 제조업의 일자리가 9.7만 개로 전년 동기대비 0.3만 개, 3.0%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제조업 내에서 의약품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19%에서 2.25%로 소폭 상승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