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서울시약사회장 선거 후보자들이 서로가 발표한 공약의 현실성을 두고 논쟁을 펼쳤다.
서울시약사회 선거관리위원회는 21일, 서울시약사회관에서 후보자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약 70분 동안 이어진 토론회에서 두 후보자는 현안을 해결할 적임자는 자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면 진료 대안은?
두 후보는 비대면 진료와 약 배달 문제를 두고 다른 해법을 제시했다.
김위학 후보는 비대면 진료 도입 전에 성분명 처방과 공적전자처방전 등 안전장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치권에 요구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고, 이명희 후보는 국회에 발의된 닥터나우 방지법 통과 촉구, 국회토론회 개최 등으로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이어 상호 질의 시간을 통해 상대 공약의 허점을 파고들었다.
먼저 이 후보는 김 후보가 제시한 성분명 처방 및 공적 전자처방전을 실현할 구체적인 방안을 물었다.
이에 김 후보는 “비대면 진료 제도화 전에 약사회와 의사회에 의견을 묻고, 선결 조건이 해결되지 않으면 강력한 반대 운동을 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반대로 김 후보는 비대면 진료의 부작용을 차단할 계획을 물었다.
이에 이 후보는 “국회 토론회와 같은 방법을 통해 비대면 진료와 관련한 문제 제기를 이어가겠다”며 “이를 토대로 국민 건강권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품절약 해법, 성분명 처방 VS 의약품 공급관리 위원회 설치
두 후보는 현재 약국가의 최대 현안으로 꼽히고 있는 의약품 품절 사태에 대한 해법에서도 의견이 갈렸다.
이 후보는 성분명 처방 도입과 교품 활성화를 추진해 품절 약 사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고, 김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 발의한 법안을 통과시켜 의약품 공급관리 위원회가 출범할 수 있도록 해야 문제를 풀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후보는 “김 후보가 말한 의약품 공급관리 위원회가 쉽게 설치 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이미 공급관리 위원회 설치와 관련한 법안은 발의됐고, 계류된 상태”라며 “의약품 공급관리 위원회는 출범 준비가 많이 된 상태로, 이 법안을 빨리 통과시키기만 하면 바로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김 후보는 “이 후보가 성분명 처방을 품절약 사태의 해법으로 제시했는데, 이 요소 만으로는 의약품 수급 불안정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다른 대안을 말해주길 바란다”고 질문했다.
이에 이 후보는 “성분명 처방은 대원칙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이외에도 의약품 교품 활성화를 토대로 일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서 대관을 통해 법을 바꾸려는 노력을 하겠다”고 답했다.
◇대한약사회와 공조 한 목소리
한편, 두 후보는 한 목소리로 서울시약사회와 대한약사회가 공조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후보는 “약사사회 앞에 놓인 한약사 문제나 비대면 진료, 성분명 처방 같은 문제들은 개인이나 소수의 힘으로는 풀 수 없다”며 “서울시약과 대약이 힘을 합쳐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약사회가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울시약을 만들겠다”고 전했다.
김 후보는 “대약과 서울시약은 경쟁적 관계가 아니다”라며 “정책적인 큰 틀에서는 같은 방향을 가면서 작은 부분에서는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약이 정부와 협상하는 과정에서 일선 회원들의 여론과 괴리될 수 있으니 이를 바로잡는 역할을 서울시약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대약이 일선 약사들의 여론과 반대로 가지 않도록 견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