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여야의정 협의체가 출범했지만, 정부와 의료계는 여전히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시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정부와 국민의힘은 17일, 국회에서 대한의학회 등 의료계 단체와 함께 2025학년도 및 2026학년도 의대 입시를 주요 의제로 여야의정 협의체 회의를 진행했으나 합의점은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은 “이번 회의에서 의대 입시와 관련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의료계는 2025학년도와 2026학년도 입시와 관련해서 (증원을) 유예하자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반면 “정부는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며 “이 부분에서 평행선을 달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여야의정 협의체에서도 이견이 지속되자 의료 공백이 지속될 것이란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 A씨는 “정부는 이미 2025학년도 수능시험이 끝났고, 시간을 끌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정부가 이런 식으로 의료계 의견을 수용하지 않으면 내년에도 의료공백 사태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정부의 대처를 보고 현장 복귀를 하고 싶을지 의문”이라며 “이미 신뢰가 깨진 상황에서 정부가 바뀌지 않는 모습을 유지하면 내년에도 복귀 하지 않고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의료대란 문제를 해결하려는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는 지적도 나왔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정부의 지금 모습은 앞으로 어떻게 되더라도 상관없다는 것 같다”며 “이대로 가면 결국 어떤 방향으로라도 정리가 될 것이라 생각하는 자세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 상황을 방치하면 더 큰 문제가 온다고 경고하고 있는데 이를 외면하는 것이 정치인지 모르겠다”고 힐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