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제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표심에 영향을 줄 변수가 많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가 이례적으로 3자 경쟁 구도로 가는 상황에서 변수가 없다면, 오히려 과열 경쟁이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약사사회에서는 지난 40대 대한약사회장 선거 당시 약 배달 논란이 표심의 방향을 바꿨던 것처럼, 이번 선거 역시 외부에서 발생한 변수가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국정감사 이후 정부가 의정갈등 상황이 안정된 후에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를 고민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이 가운데 비대면 진료 법제화로 약 배달 논의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가 더해진 것.
약업계 관계자 A씨는 “지난 대한약사회장 선거에서 가장 중요했던 분기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의약품을 의약품 유통업체 직원이 배송할 수 있도록 한 정부 발표였다”며 “발표 이후 집행부 책임론이 거세졌고, 유권자들이 집행부 심판론을 지지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이번 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에서도 같은 사례가 일어날 수 있다”며 “약사사회에서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는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3자 경쟁 구도에서는 더 큰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이 같은 변수가 발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논의를 다시 시작하거나, 약 배달을 추진하긴 어려운 상태라는 분석이다.
약업계 관계자 B씨는 “지금 상황을 보면, 지난 선거처럼 선거 구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변수가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정부가 당장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나 약 배달을 시행하기 힘든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로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논의는 절차상의 문제도 있고, 여야의정 협의체를 12월 말까지 운영해야 해 복지부가 말했던 의정갈등 국면이 정리되는 시점은 아무리 빨라도 내년 초라고 봐야 한다”며 “약 배달 문제도 지지율이 낮은 현 정부가 의정갈등 국면이 정리되지 않은 시점에서 약사사회와 대립할 수 있는 정책을 추가로 추진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번 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는 후보들의 역량 경쟁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약업계 관계자 C씨는 “약사회장 선거에 외부 변수가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면, 3자 경쟁 구도에서 후보 간 공약 검증, 후보의 역량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며 “후보들이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로잡을 공약을 잘 홍보하는 것이 이번 선거의 핵심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열릴 후보자 토론회의 중요도도 높아질 수 있다”며 “3자 구도로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기 때문에 후보들이 실수를 하지 않고, 장점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