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김정수 " 포지티브, 중소제약사 문닫아"
상태바
김정수 " 포지티브, 중소제약사 문닫아"
  • 의약뉴스
  • 승인 2006.07.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수 제약협회장은 6일자 중앙일보의 독자란 코너인 내 생각은...에 '새 약값 정책, 환자 부담만 늘려'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실었다.

 김회장은 기고문에서 포지티브제가 도입될 경우 중소 제약사가 문을 닫아야 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 업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미국에 비해 가뜩이나 경쟁력이 떨어지는 국내 제약산업에 불리한 협상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심히 걱정이다" 고 전제하고 "이런 시점에 보건복지부가 의약품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방식을 대부분 의약품에 적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에서 일부 의약품에만 적용하는 포지티브(선별등재) 방식으로 바꾸려 하고 있어 국내 제약산업은 한층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다" 고 지적했다.

그는 " 포지티브 방식은 일면 그럴싸하게 보이지만 여러 문제점과 부작용을 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여건이 맞지 않아 도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며  "먼저 국민의 부담과 불만 증가가 우려된다" 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 건강보험 등재 리스트에서 제외된 의약품을 처방받으면 환자가 전액 지불해야 한다. 이는 건강보험 보장성의 축소, 즉 비보험 진료 확대를 의미한다. 의약품 비보험 시장이 형성될 경우 정부가 처방 의약품의 가격과 수량을 통제할 수 없게 되고, 정부가 책임을 포기하는 결과가 된다." 는 것.

김 회장은 " 우리의 국가 주도 단일보험체계에서는 건강보험 적용 배제 의약품은 자동적으로 자동차보험.산재보험.의료급여에서도 제외되고, 비급여 시장 외에는 판로를 찾을 수 없게 된다. 많은 중소 제약사가 문을 닫아야 할지 모른다.

우리나라는 아직 비용 대비 효과적인 약품을 선별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연구기관이 절대 부족하고 관련 데이터도 구축돼 있지 않다. 신약의 보험등재 여부가 불확실해져 신약 개발 의욕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의사.약사들의 의약품 선택 폭이 줄고 임상연구 기회가 축소돼 의약 발전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라고 주장했다. 

그는 끝으로 " 독일은 전문 의약품 수가 4만 개로 우리보다 두 배 이상 많다. 그런데도 1995년과 2003년 두 차례 포지티브 제도를 도입하려다 만성질환자의 부담 증가, 재정절감 효과 불확실, 중소 제약사에 대한 경영압박 등의 이유로 포기했다.

선진국들은 제약산업을 국가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장려하고 있다. 그런데 한.미 FTA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제약업계의 타율적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정부가 제약업계의 발목을 잡으면 우리 제약산업의 미래는 어둡기만 할 것이다" 라고 포지티브제에 대한 불만을 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