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회원을 상대로 거액의 합의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저 논란에 휩싸인 의협 임현택 회장이 추가 폭로로 더욱 궁지에 몰렸다.
서울시의사회 홍보이사의 사연이 보도된 후 과거 임 회장에게 고소ㆍ고발을 당했다는 또 다른 회원들이 등장, 폭로전에 동참한 것.

서울특별시의사회 최주현 홍보이사는 최근 마포경찰서로부터 의사 커뮤니티 사이트에 올린 댓글과 관련해 임현택 회장이 명예훼손으로 진정을 접수한 사실을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임현택 회장과 박단 전공의(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간 갈등을 두고 모 의사 커뮤니티 사이트 익명게시판에 박단 전공의를 일방적으로 비난하는 글이 올라오자 "의협회장이 전공의 지원금 4억 슈킹한건 돌려줬냐"는 댓글을 게시한 것을 두고 진정을 접수했다는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임 회장은 “용서할 생각이 없으며, 민ㆍ형사 고소는 물론, 중앙윤리위원회에 회부해 공론화하고, 보건복지부에도 이야기해 면허도 취소 시킬 것”이라며 “싫으면 1억을 가져오라”고 요구했다는 것이 최 이사의 설명이다.
이 같은 주장에 의협은 24일 입장문을 발표, “최 이사의 글에 단호하게 대응하는 과정에서 감정을 조절하지 못했다”고 사과하면서도 “최 이사가 2차 가해를 저질렀다면서 중앙윤리위원회에 회부하겠다“고 엄포했다.
의협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비슷한 경험을 했다는 의사회원들이 등장, 자신들의 사례를 폭로전에 가세해 논란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최근 한 의사회원은 2018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임 회장으로부터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당했으나, 경찰조사 결과 무혐의를 받았다는 사실을 기자에게 제보했다.
그는 “과거 추무진 집행부 때 의료전달체계 권고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임현택 회장이 뭔가를 합의했다는 내용을 의사 커뮤니티 사이트에 올렸는데, 이 글을 본 임 회장이 나를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했다”며 “두 고소건 모두 경찰 조사 결과 무혐의가 나왔는데, 이 중 한 건은 임 회장이 모욕 혐의까지 추가해 항고까지 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임 회장은 의사 커뮤니티 사이트에 올라온 내 글을 포함한 여러 게시글과 댓글에 대해 성명불상자로 고소했다”며 “이는 나 말고도 여러 회원들을 고소했다는 의미인데, 무혐의 처분이 내려진 나를 제외한 나머지 회원들에 대해선 선처했을지, 아니면 합의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특히 “나를 고소한 결과가 무혐의로 나오자 임 회장은 소아청소년과의사회 커뮤니티 사이트에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것 때문에 자살하고 싶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며 “임 회장이 일하는 방식은 이런 식"이라고 힐난했다.
이어 "서울시의사회 홍보이사처럼 처음에는 고소를 이용해 공갈 협박을 하다가, 통하지 않는 상대가 나타나면 자신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호소하는 글을 올려 상대를 매장시키는 인민재판을 해버린다”면서 “이런 사실을 소아청소년과의사회 외부로 발설하지 않은 건, 당시 임 회장의 선동에 잘 모르고 동조한 선량한 회원들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의사회원도 임 회장을 비판하는 글로 고소당해 벌금형을 받은 사연을 폭로했다.
이 회원은 지난 2021년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임 회장을 비판하는 내용의 댓글을 게시했으며, 당시 의협회장 선거를 진행 중이었던 임 회장으로부터 모욕죄로 고소를 당했다고 밝혔다.
경찰로부터 고소 사실을 전달 받은 그는 임 회장에게 연락해 “과격한 발언을 해서 죄송하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겠다”고 사과했으나, 임 회장이 사과를 받지 않아 결국 검찰로 기소됐다는 설명이다.
이후 형사조정에 따라 벌금(50만원)에 맞는 합의를 제안했으나 임 회장은 합의금으로 300만원을 요구하면서 진정 어린 사과와 재발 방지 다짐이 담긴 서면 제출을 요구했으며, 서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지난 2022년 약식명령으로 벌금형이 확정됐다는 전언이다.
이 회원은 “합의를 하지 않고 처벌을 받기로 결정한 것은 바로 가족 때문이었다"면서 "임 회장이 ‘당신의 잘못을 가족들도 알고 있냐’는 식으로 말해 심리적 압박을 받았다”고 밝혔다.
특히 “300만원의 합의금은 중요하지 않았다"며 "차라리 전과자로 남는 것이 맞겠다는 생각이었다”고 토로했다.
이어“최주현 이사의 사건이 언론에 공론화되면서 나의 사례를 알리고 싶었다”며 “상대를 비판하는 댓글을 다는 것은 분명 잘못된 일이지만 회장에 대해 비판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알리는 것이 회원으로서 해야할 일이라 생각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