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오는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약사사회가 한약사 문제를 집중 조명하며 여론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어 눈기를 끈다.
대한약사회는 한약사의 일반의약품 판매 문제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지난 9일부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한 릴레이 1인 시위를 오늘(30일) 마무리한다.

이어 10월부터는 국회에 방문해 약사사회의 뜻을 전달할 계획이다.
약사회 관계자는 “국정감사에서 한약사 문제가 다뤄질 수 있도록 국회를 찾아가 약사사회의 목소리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약사회도 29일 진행한 건강서울페스티벌에서 한약사 문제를 적극적으로 언급했다.
권영희 회장은 개회사에서 “약사는 약국, 한약사는 한약국으로 명칭을 구분해 국민의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법이 갖춰져 있지 않다면 이를 고치면 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약사회 소속 24개 분회 분회장들도 한약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분회장들은 “한약사들이 전문분야인 한약은 하지 않고, 면허도 없는 약사 업무를 하고 있다”면서 “보건당국은 면허범위를 벗어난 위법 행위를 엄중히 관리해 달라”고 촉구했다.
국회의원들이 약국과 한약국을 구분하고 약사와 한약사의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약사법을 조속히 개정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여기에 더해 서울시약사회는 건강서울페스티벌 현장에서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서명운동을 진행했다.
권영희 회장은 “한약사 문제는 해묵은 숙원 과제인데, 이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의 목소리를 모으고자 행사장에 한약사 부스를 설치하고, 서명운동도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어 “시민 서명을 토대로 의견을 전달하면 국회나 복지부도 이를 수용하는 자세가 달라진다”며 “국민과 함께하며 국민 건강을 위해 한약사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일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대한약사회와 서울시약사회 등 주요 약사단체들이 한약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지만, 현장에서는 지속성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약사 A씨는 “대한약사회나 지역약사회에서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것은 매우 환영할 일”이라며 “하지만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해 약사들이 움직인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약사 현안이 많다보니 한약사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운동을 꾸준히 하지 못했었다”며 “이로 인해 사회 일각에서는 대한약사회장 선거철이 되면 약사사회에서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약사사회의 오래된 현안을 풀기 위해선 약사사회가 긴 호흡으로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야 한다”며 “단거리 경주를 하듯 행동해선 한약사 문제를 풀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