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최근 일부 자영업자들이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공공플랫폼 합류를 늘려가자, 보건의료계는 공공ㆍ공적앱의 성공 사례를 파악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최근 일부 자영업자들은 대형 배달 음식 플랫폼에서 벗어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플랫폼에서 배달 주문을 소화하고 있다.
그동안 회원 수가 많은 민간 플랫폼에 자영업자들이 몰렸지만, 최근 민간 플랫폼 업체들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상인들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공정한 플랫폼을 위한 사장협회 김영무 회장은 대형 플랫폼 업체들의 무료 배달 경쟁으로 고통받는 자영업자와 배달원의 수가 늘었다고 지적했다.
김영무 회장은 “최근 대형 배달 플랫폼들이 연이어 무료 배달 서비스 경쟁을 시작하자, 상인들의 부담이 커졌다”며 “소비자에게는 배달비를 받지 않고 있지만, 그 돈을 배달원에게 지급되는 비용 감축, 판매자 부담금 상승 등으로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소비자들은 무료 배달 서비스로 인해 서비스 질 저하와 구매 비용 상승 등의 부작용을 간접적으로 겪고 있다”며 “이런 문제로 대형 민간 플랫폼과의 제휴를 끊고 공공플랫폼으로 진출하는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영업자들은 공공플랫폼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한 결과, 이용자 수가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민간 플랫폼과 비교하면 불편한 서비스 품질, 부족한 홍보 등의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분석했다.
김 회장은 “대형 민간 플랫폼과의 제휴를 종료한 자영업자들이 직접 공공플랫폼을 시민들에게 홍보하고 있다”며 “수수료가 적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더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결과, 이용자 수가 조금 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용자 수가 부족해 공공플랫폼 관리 주체들의 관심을 받지 못해 서비스 품질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며 “결제의 불편함, 낮은 인지도 문제는 공공플랫폼이 풀어야 할 과제”라고 설명했다.
보건의료계 전문가는 자영업자들이 대형 민간 플랫폼을 이탈하는 상황을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민간 배달 플랫폼이 일으킨 문제들이 의원과 약국에도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계 전문가 A씨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도 대형 배달 플랫폼들이 일으킨 문제들을 똑같이 만들 수 있다”며 “과도한 경쟁 과정에서 의료기관과 약국이 손해를 보고, 결국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자영업자들이 공공플랫폼에 진출하는 이유와 과거와 달라지고 있는 공공플랫폼의 위상을 주목해야 한다”며 “이를 반영해 비대면 진료 법제화 과정에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변협의 ‘나의 변호사’ 서비스의 성공 사례도 함께 참고해서 비대면 진료 법제화 과정에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