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양덕숙 전 약학정보원장이 현재의 약정원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목소리를 내놔 이목이 쏠린다.
양 전 원장은 22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약정원-IMS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 관련 재판에서 대법원으로부터 최종 무죄를 확정받아 홀가분하다는 소감을 밝혔다.
그러나 10년이 넘는 소송 과정에서도 어렵게 지킨 약정원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양 전 원장은 “지난 2013년 서울중앙지검의 약정원 압수수색으로 시작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소송이 11년 만에 대법원 무죄 확정판결로 끝났다”며 “소송당사자로 재판 동안 늘 불안한 마음으로 지냈지만, 올바른 판결이 나와 마음이 홀가분하다”고 밝혔다.
특히 “약정원은 시대를 앞서간 빅데이터 사업을 추진했지만, 사법기관의 무리한 수사로 어려움을 겪었다”며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저는 흔들리는 약정원을 지켜내기 위해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어렵게 지켜온 약정원이 요즘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PIT3000과 PM+20의 약국 점유율이 45%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오류도 잦고, 자체 개발 역량을 높이지 않은 채로 외주를 주는 일이 많아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이어 “약정원은 잦은 오류를 해결하고, 개발 역량을 길러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며 “이를 위해 약정원에 대한 철저한 감사와 전문기관의 경영 진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발 더 나아가 양 전 원장은 지난 6월 대한약사회 최광훈 회장이 약사회 이사회에서 약정원의 문제에 대해 공개 사과하면서 한 발언에 의문을 제기했다.
최광훈 회장이 약정원 서비스 장애 원인으로 지적한 서버와 기자재의 노후화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양 전 원장은 “최광훈 회장이 기자재와 서버의 노후화로 서비스 장애가 일어났다고 해명했는데, 이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며 “중요한 서버는 모두 외부 임대 형태로 사용하고 있어 노후화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실무와 관련된 부분은 약정원 부원장이나 원장이 나와서 설명하고 사과했어야 한다”며 “약정원 이사장이라고 하지만 대한약사회장이 직접 사과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약정원에서 최광훈 회장에게 잘못된 의견을 전달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양 전 원장은 약정원이 외부 업체와의 MOU 등을 진행해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제 시대가 많이 변했기 때문에 약정원도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약정원이 PSP와 같은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하는데, 외주 비중을 줄이고 자체 개발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감사와 경영진단을 받아서 약정원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방향을 찾길 바란다”며 “IT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