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연이은 의약품 공급난에 필수약 국가생산 목소리 확대
상태바
연이은 의약품 공급난에 필수약 국가생산 목소리 확대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4.01.29 0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약품 특성 고려해야”

[의약뉴스] 코로나19 이후 의약품 부족 사태가 지속되자 필수의약품은 국가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역약사회 정기 총회 시즌이 도래한 가운데, 의약품 부족 사태에 대한 일선 약사들의 쓴소리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조제약 공급 불안정으로 약사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

이에 대한약사회와 정부가 의약품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 의약품 부족 사태 해결책으로 필수의약품의 국가 생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의약품 부족 사태 해결책으로 필수의약품의 국가 생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공공제약사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국가가 공공제약사를 설립해 필수의약품을 생산해야 한다는 것.

경기도약사회 박영달 회장은 지난 13일 고양시약사회 정기 총회에서 국가가 약을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박 회장은 “정부 차원에서 공공제약사를 설립해 품절된 의약품을 생산해야 한다며 ”국가가 제약사를 인수해 질병으로 국민이 고통받을 때 약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남구약사회 신성주 총회의장도 27일, 강남구약사회 정기 총회에서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신 의장은 ”의약품 부족 사태의 피해자는 국민이기에 정부가 사태를 방치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민 생활에 필요한 인프라를 나라에서 제공하듯 필수의약품은 공공제약사를 통해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필수의약품 공급을 위한 공공제약사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는 이유는 정부의 미흡한 대책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정부가 약가 인상 등 제도적 지원책을 발표하며 필수의약품 생산을 독려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

약사 A씨는 ”정부에서 필수의약품 생산을 독려하기 위해 약가 인상이라는 카드를 내놓고 있지만,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며 ”건강보험 재정이 한정적인데 무작정 약가를 올린다고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임시방편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국가 차원에서 제약사를 설립해 필수의약품만이라도 생산하도록 하자는 의견이 나온 건 정부 대책이 부족하다는 평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의약품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공공제약사를 설립해 필수의약품만 생산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약사 B씨는 ”의약품은 단순 소비재가 아니라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다“며 ”우리나라는 약가의 상한을 정부에서 정하고 생산ㆍ공급을 관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모든 약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필요한 필수의약품만 국가에서 생산하자는 것“이라며 ”이대로 펜데믹이 다시 온다면 대응이 불가능하기에 대비 차원에서 국가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약품 부족 사태를 풀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을 기다리던 약사들이 답답함에 다양한 대책을 고민하고 제시하는 상황을 정부가 이해해야 한다“며 ”정부에서 의약품 부족 사태가 곧 끝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