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7 06:51 (토)
전극도자절제술 후 경구용 항응고제 투약 기간, CHADS2 고려해야
상태바
전극도자절제술 후 경구용 항응고제 투약 기간, CHADS2 고려해야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3.12.21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청구데이터 분석...CHADS2 낮으면 이득보다 위험 커

[의약뉴스] 심방세동을 치료하기 위해 전극도자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경구용 항응고제(Oral AntiCoagulant, OAC)를 투약할 때 CHADS2 점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CHADS2 점수가 낮은 경우 오히려 혈전색전증 예방 효과보다 출혈의 위험이 더 크다는 것.

▲ 심방세동을 치료하기 위해 전극도자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경구용 항응고제(Oral AntiCoagulant, OAC)를 투약할 때 CHADS2 점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심방세동을 치료하기 위해 전극도자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경구용 항응고제(Oral AntiCoagulant, OAC)를 투약할 때 CHADS2 점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본 연구진은 일본 내 청구 데이터를 통해 2014년부터 2021년 사이 심방세동을 치료하기 위해 전극도자절제술을 받고 경구용 항응고제를 투약한 23만 1374명의 데이터를 분석. 그 결과를 20일 유럽심장학회 학술지 European Heart Journal에 게재했다.

전체 환자 중 69.7%는 CHADS2 점수가 1 이하, 21.6%는 2, 8.7%는 3 이상이었으며, 71%의 환자가 6개월간 경구용 항응고제를 지속적으로 투약했다.

전반적으로 CHADS2 점수가 높을수록 경구용 항응고제를 보다 지속적으로 투약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전색전증은 2451명, 100인년(Person-year) 당 0.55명, 주요 출혈(major bleeding)은 2367명, 100인년 당 0.53명에서 발생했다.

혈전색전증이 발생한 환자 중 1902명이 허혈성 뇌졸중을, 570명은 전신 색전증이 발생했으며, 주요 출혈이 발생한 환자 중 850명은 두개내 출혈이, 1542명은 위장 출혈이 발생했다.

전체 환자 중 항응고제를 6개월간 지속적으로 투약한 환자들의 혈전색전증 발생 상대위험비(Hazard Ratio, HR)는 0.93(95% CI, 0.83-1.05, P=0.26), 주요 출혈의 상대위험비는 1.53(95% CI 1.34-1.76, P<0.001)로 집계됐다.

그룹간 성향 점수에 균형을 맞춘 후 분석한 결과 CHADS2 점수가 3 이상인 환자에서 혈전색전증 발생률은 100인년 당 1.27건, 주요 출혈은 100인년 당 1.01건으로 혈전색전증 및 주요 출혈 발생률 모두 100인년 당 0.39건으로 보고된 CHADS2 점수 1 이하의 환자들을 크게 상회했다.

CHADS2 점수가 1 이하인 환자에서 경구용 항응고제를 6개월간 지속적으로 투약한 환자의 주요 출혈 발생률은 100인 년 당 0.42건으로 조기에 중단한 환자의 0.28건을 크게 상회했으나(HR=1.51, 95% CI 1.27-1.80, P<0.001), 혈전색전증 발생률은 100인년 당 0.38건과 0.43건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HR=0.86, 95% CI 0.74-1.01, P=0.06).

특히 CHADS2 점수가 0인 환자에서는 경구용 항응고제를 6개월간 지속적으로 투약한 환자의 주요 출혈 발생위험이 크게 높았으나(HR=1.51, 95% CI 1.10=2.07, P<0.001), 혈전색전증은 줄이지 못했다(HR=1.00, 95% CI 0.75-1.33, P<0.001).

CHADS2 점수가 2인 환자에서도 혈전색전증 발생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HR=0.98, 95% CI 0.78-1.24, P=0.90), 주요 출혈 발생 위험은 더 높았다(HR=1.35, 95% CI 1.05-1.72, P=0.02).

반면, CHADS2 점수가 3 이상인 환자에서는 경구용 항응고제를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투약한 환자에서 혈전색전증 발생률이 100인년 당 1.15건으로 조기에 중단한 환자의 1.87건보다 크게 줄었으며(HR=0.61, 95% CI 0.46-0.82, P=0.001), 오히려 주요 출혈은 100인년당 1.02건과 0.97건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HR=1.05, 95% CI 0.71-1.56, P=0.8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