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7:24 (금)
한국BMS제약-한국화이자제약, 르네상스 마스터 클래스 성료 外
상태바
한국BMS제약-한국화이자제약, 르네상스 마스터 클래스 성료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11.10 1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BMS제약-한국화이자제약, 르네상스 마스터 클래스 성료

▲ 한국BMS제약과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달 15일과 16일 양일에 걸쳐 심방세동 및 정맥혈전색전증(VTE) 환자의 항응고요법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르네상스 마스터 클래스(RENAISSANCE MASTER CLASS)’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한국BMS제약과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달 15일과 16일 양일에 걸쳐 심방세동 및 정맥혈전색전증(VTE) 환자의 항응고요법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르네상스 마스터 클래스(RENAISSANCE MASTER CLASS)’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BMS제약과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달 15일과 16일 양일에 걸쳐 심방세동 및 정맥혈전색전증(VTE) 환자의 항응고요법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르네상스 마스터 클래스(RENAISSANCE MASTER CLASS)’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심방세동 및 VTE 환자 관리의 주요 이슈인 특정 상황별 최적의 항응고 치료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효과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하고 있는 경구용 항응고제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임상적 유용성이 공유됐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첫째 날은 남기병 울산의대 심장내과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고위험군 환자의 뇌졸중 예방 및 출혈 위험 관리 등 심방세동 환자 관리의 최근 이슈와 엘리퀴스의 관련 임상 데이터가 소개됐다. 

첫 번째 발표는 스티븐 데이텔즈봐이그(Steven Deitelzweig) 호주 퀸즐랜드대(University of Queensland) 교수가 ‘엘리퀴스를 활용한 출혈 고위험군 심방세동 환자 관리’를 주제로 진행했다. 

무작위대조시험(RCT)과 일관된 효과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한 엘리퀴스의 대규모 리얼 월드 데이터(RWD) 연구 ARISTOPHANES를 소개하고, 위장관출혈 위험, 신기능 장애 등을 동반한 환자군에 대한 엘리퀴스의 출혈 안전성 프로파일을 조명했다.

김치경 고려의대 신경과 교수의 ‘뇌졸중 예방요법의 주요 이슈 및 챌린지’ 발표에서는 2차 뇌졸중 예방을 위한 항응고요법과 비타민K 비의존성 경구용 항응고제(이하 NOAC)의 적정 용량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다. 

마지막 발표를 맡은 김유리 전남의대 순환기내과 교수는 ‘동반 질환 있는 심방세동 환자 관리’를 주제로 다른 질환을 동반하거나 다제 복용하는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출혈 위험성을 발표했다. 

특히 김치경 교수와 김유리 교수 모두 NOAC의 허가(on-label)된 용량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둘째 날은 심방세동 및 VTE 환자의 항응고요법에 대한 최신 가이드라인 개정사항과 엘리퀴스의 새로운 치료 영역을 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첫 번째 연자로 나선 임우현 서울의대 순환기내과 교수는 최근 개정된 ‘2022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 환자 NOAC 사용 지침’의 주요 내용을 발표하고 NOAC의 급여 확대 소식을 전했다. 

지난 8월 전기적 심율동전환술(시술 3주 전부터 4주 후) 및 도자절제술(시술 3주 전부터 8주 후) 전후 환자를 대상으로 엘리퀴스를 비롯한 NOAC을 투여할 수 있도록 급여기준이 확대됐다며, 세부 투여 기준에 대한 학회 권고 사항과 관련 임상 데이터를 소개했다.

 이어 김현진 한양의대 심장내과 교수가 ‘암 동반 VTE 환자 관리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암 환자의 사망 및 합병증 위험을 높이는 VTE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암 환자는 암에 걸리지 않은 환자에 비해 VTE 발생률이 4~7배 높을 뿐만 아니라, 항응고 치료를 시작하더라도 일반 환자 대비 VTE 재발 및 주요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 교수는 엘리퀴스는 암 동반 VTE 환자 대상 임상 3상인 CARAVAGGIO 연구에서 달테파린 대비 주요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고 비열등한 VTE 재발 예방 효과를 확인한 NOAC으로, 지난해 12월 허가사항이 변경되면서 암 환자의 VTE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이날 좌장을 맡은 박재형 충남의대 심장내과 교수는 “심방세동과 VTE 환자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합병증 및 출혈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고려한 항응고요법을 시행하는 것”이라며 “최근 개정된 여러 가이드라인에서도 환자의 상태와 상황에 따른 항응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엘리퀴스는 출시된 지 오랜 기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RWD 연구를 지속하고 있는 약제 중 하나”라며 “이를 기반으로 급여 확대, 허가사항 변경 등 치료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어 더욱 체계적인 항응고 치료 환경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 부스를 운영해 의료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었다. 

가상 현실(VR) 체험 부스에서는 심방세동 환자의 몸 내부를 재현한 VR 영상을 통해 심방세동 발생 시 혈전이 생성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초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별도의 헤드셋 착용 없이도 해외 연자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또, 체험 부스를 이용한 의료진을 대상으로 디지털 서비스 참여 횟수에 따라 소외 계층 아동의 디지털 환경 개선을 위한 기부금을 전달하는 ‘꼬마전구 캠페인’을 함께 진행해 그 의미를 더했다.

 

◇한국GSK, 환자중심 가치 실현 위한 ‘페이션트 위크’ 개최

▲ 한국GSK(한국법인사장 롭 켐프턴)가 다양한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응원하고, 임직원들의 ‘환자중심(Patient Focused)’ 가치 실현을 위해 10일(목)부터 18일(금)까지 ‘페이션트 위크(Patient Week)’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한국GSK(한국법인사장 롭 켐프턴)가 다양한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응원하고, 임직원들의 ‘환자중심(Patient Focused)’ 가치 실현을 위해 10일(목)부터 18일(금)까지 ‘페이션트 위크(Patient Week)’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GSK(한국법인사장 롭 켐프턴)가 다양한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응원하고, 임직원들의 ‘환자중심(Patient Focused)’ 가치 실현을 위해 10일(목)부터 18일(금)까지 ‘페이션트 위크(Patient Week)’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GSK 페이션트 위크는 ‘환자를 위해 열정적으로 일하는(Ambitious for patients)’ 기업 문화를 바탕으로 GSK 모든 활동의 중심에 있는 환자와 직원 각자의 업무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및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기 위해 기획한 사내 행사다.

이번 페이션트 위크는 ‘나는 환자를 위해 일한다, 그리고 나는 우리 엄마, 아빠를 위해 일한다(I’m working for patients, I’m working for my mom and dad)’를 주제로 ▲직원 가족 중 질병을 앓았던 환자 사연을 받아 가족사진 촬영 기회 제공 ▲촬영된 사진과 질환 극복 사연으로 구성된 페이션트 월(Patient Wall) 제작 ▲임직원이 함께 환자를 위한 열정(Ambition for Patient)을 나누고 공감하는 타운홀 미팅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10일 한국GSK 사무실에서 진행된 타운홀 미팅에서는 일상 속에서도 환자를 위해 열정을 갖는다는 기업가치를 상기하기 위해 사무실 내 직원들의 휴게 공간의 명칭도 ‘페이션트 라운지(Patient Lounge)’로 이름 붙였다. 

또한, 전직원이 함께 직원 가족사진 촬영 중 제작된 메이킹 필름과 ‘우리가 하는 일이 환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라는 주제로 촬영된 직원들의 인터뷰 영상을 시청하며 환자들을 응원하고 페이션트 위크를 기념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GSK 이동훈 부장은 “이번 페이션트 위크를 계기로 천식을 극복하신 할머니와 가족들이 좋은 추억을 만들 수 있어 기뻤다”면서 “저와 GSK 직원들이 하는 활동이 얼마나 소중한 가치를 지닌 일인지 공유하고자 행사에 참여하게 됐으며, 저와 비슷한 아픔을 겪었던 환자들과 환자 가족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고 말했다.

한국GSK 롭 켐프턴 사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GSK 임직원들이 누구보다 환자를 위한 깊은 열정(Ambitions for Patients)을 갖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GSK는 과학, 기술, 인재를 하나로 모아 함께 질병을 이겨내고 극복하고자 하는 열정과 목적을 가진 글로벌 바이오 제약 기업”이라면서 “이번 페이션트 위크는 환자를 위해 일하는 우리의 목적을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였으며, 앞으로도 우리의 일상업무를 통해 환자를 위한 마음과 문화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머크 바이오파마, 크리스토프하만제너럴 매니저 선임

▲ 크리스토프 하만 제네럴 매니저
▲ 크리스토프 하만 제네럴 매니저

머크의 의약품 사업부인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지난 4일부로, 신임 사업부 총괄 대표로 크리스토프 하만(Christoph Hamann) 제네럴 매니저(General Manager)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사측에 따르면, 크리스토프 하만 신임 제네럴 매니저는 한국에 부임하기 전까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 머크 바이오파마의 제네럴 매니저로 근무했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법인 대표 (Managing Director)를 역임했다. 

2009년 머크 입사 이후 독일, 스위스,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전략 및 커머셜 업무를 통해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특히, 유럽지역의 난임 프랜차이즈 리더이자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부사장으로서 우수한 성과를 보여, 글로벌 국가 수준에서의 사업 개발과 경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이번 한국 취임을 포함하면 총 7개 국가에서의 비즈니스 경험을 보유하게 된다.

크리스토프 하만 신임 제네럴 매니저는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경제학(Economics)을 전공했으며, 머크 입사 전에는 투자 은행 및 컨설팅 분야에 9년간 몸담았다.

한국머크 바이오파마 사업부는 “제약을 포함한 다양한 업계에서 약 22년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크리스토프 하만 제네럴 매니저가 사업부 조직을 이끌면서, 한국머크 바이오파마의 스페셜티 케어 분야 리더십이 한층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