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7:24 (금)
바이엘, 비트락비 관련 확장연구 4건 발표 外
상태바
바이엘, 비트락비 관련 확장연구 4건 발표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09.16 1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이엘, 비트락비 관련 확장연구 4건 발표

▲ 바이엘은 자사의 TRK 억제제 비트락비(성분명: 라로트렉티닙)의 4가지 확장 연구에 대한 최신 결과를 2022 유럽종양학회(ESMO 2022) 및 세계폐암학회(WCLC 2022)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 바이엘은 자사의 TRK 억제제 비트락비(성분명: 라로트렉티닙)의 4가지 확장 연구에 대한 최신 결과를 2022 유럽종양학회(ESMO 2022) 및 세계폐암학회(WCLC 2022)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바이엘은 자사의 TRK 억제제 비트락비(성분명: 라로트렉티닙)의 4가지 확장 연구에 대한 최신 결과를 2022 유럽종양학회(ESMO 2022) 및 세계폐암학회(WCLC 2022)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폐암을 포함한 다양한 NTRK 유전자 융합 종양에서 비트락비의 지속적이고 일관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START(South Texas Accelerated Research Therapeutics)의 임상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스페인 마드리드 히메네스 디아스 대학병원의 빅토르 모레노(Victor Moreno) 박사는 “이번 결과는 NTRK 유전자 융합 양성인 성인 폐암환자에서 비트락비의 강력하고 지속적인 임상적 유용성을 거듭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지금까지 비트락비가 보여준 장기간의 임상적 유용성과 긍정적인 안전성 프로파일은, 비트락비와 같은 정밀 항암제(precision oncology medicines)에 적합한 환자를 식별하고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유전자 검사가 매우 중요한 선행 조건임을 말해준다”고 강조했다.

이번 비트락비의 최신 업데이트에는 ▲NTRK 유전자 융합 진행성 폐암 환자 대상 확장 연구,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성인 및 소아 환자 대상 연장 연구, ▲NTRK 유전자 융합 침샘종양(SGT) 성인 환자 대상 통합 분석,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 대상 임상시험 환자군 내 성장조절지수(GMI) 비교 분석 연구 등이 포함됐다.

먼저, NTRK 유전자 융합 진행성 폐암 환자 대상 확장 연구 결과, 추적 기간 및 환자 데이터가 추가되었음에도 비트락비의 일관된 종양 반응을 확인했다. 

이번 분석은 이전에 3가지(중앙값)의 치료를 받은 NTRK 유전자 융합 성인 폐암 환자 20명에 대한 통합 분석을 1년 간 연장 추적 관찰한 결과로, 중추신경계(CNS) 전이 환자가 포함됐다(Data cut-off: 2021년 7월). 

이 중 독립평가위원회(Independent Review Committee, IRC)의 검토가 가능한 15명의 환자에서 나타난 비트락비의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은 87%로, 이전 통합 분석 결과와 동일했다. 

추적 기간 중앙값 24개월 시점에서 반응지속기간 중앙값(mDoR, median duration of response)은 도달하지 않았다. 

추적 기간 중앙값 35.8개월 시점에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 media progression-free survival)은 33개월,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 media overall survival)은 40.7개월이었다. 
 
데이터 확정 시점(data cut-off)에서 이전에 2가지(중앙값)의 전신 치료를 받은 6명의 성인 환자가 추가되어 총 26명의 환자 데이터가 분석됐다. 

이 중 IRC 평가가 가능한 23명의 환자에서 나타난 비트락비®의 ORR은 2명의 완전반응(CR, complete response), 17명의 부분반응(PR, partial response)을 포함해 83%(95% CI 61–95)이었고, 나머지 4명도 안정병변(SD, stable disease)을 보였다. 추적 기간 중앙값 12.9개월 시점에서 나타난 mOS는 40.7개월이었으며, DoR과 PFS는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했다. 

CNS 전이가 동반된 10명의 환자에서 나타난 ORR은 80%(95% CI 44–97)로, 전체 환자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안전성 프로파일 역시 이전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보고된 치료관련 이상반응(TRAEs, treatment-related adverse events)은 대부분 1-2등급으로 5명의 환자에서 3또는 4등급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치료 중단은 사례는 없었다. 해당 연구는 비트락비의 2개 임상시험(NCT02576431, NCT02122913)에 등록된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비원발성 중추신경계비원발성 중추신경계(non-primary CNS)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성인 및 소아 환자 1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통합 분석 결과에서는 비트락비가 추적 관찰 기간이 연장됐음에도(Data cut-off: 2021년 7월)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4.1개월 시점에서 비트락비®의 mDoR은 34.5개월(95% CI 27.6%-43.3)이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5.8개월 시점에서mPFS는 32.0개월(95% CI 23.4-40.2)에 달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8.0개월 시점에서 mOS은 도달하지 않았으며, 48개월 시점의 전체생존율은 66%(95% CI 57-75)이었다. 

이러한 결과는CR 30%를 포함해, 최대 74%(95% CI 67-81)의ORR이 확인됐던 비트락비의 이전 통합 분석 결과와 상응한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마찬가지로 비트락비는 이전 분석과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연구에서 나타난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은 주로 1~2등급이었으며, 32명(20%)의 환자에서 3 또는 4등급의 TRAEs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비트락비의 3개 임상시험(NCT02122913, NCT02637687, NCT02576431)에 등록된 환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NTRK 유전자 융합 침샘 종양 (SGTs, salivary gland tumors) 환자에서는 비트락비가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비트락비의2개 임상시험(NCT02122913, NCT02576431)에 포함된 NTRK 유전자 융합 침샘 종양 성인 환자 25명에 대한 통합 분석 결과(Data cut-off: 2021년 7월, 1년 간의 연장 추적 관찰 환자 24명 포함), 비트락비 치료군의 ORR은 84%(95% CI 64-95)로, 이 중 CR은 32%(n=8) 이었다.

 반응시간 중앙값(mTTR, median time to response)은 1.8개월, 추적 기간 중앙값 39.6개월 시점에서 mDoR은 미도달 상태였다. 36개월 시점의 전체생존율(OS)은 82%, 추적 기간 중앙값 41.3개월 시점에서 mPFS는 56.0개월(95% CI 30.8-NE)이었다. 

연구에서 나타난 비트락비의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은 대부분 1~2등급이었다. 6명의 환자(24%)에서 3등급의 TRAE가 보고되었으나 이로 인한 치료 중단은 없었다.

이전에 1차 이상의 치료를 받은 비원발성 CNS(non-primary CNS) NTRK 유전자 융합 종양 환자에서 비트락비의 효과를 평가한 성장조절지수(GMI, growth modulation index) 분석에 대한 최신 확장 연구도 발표됐다. 

GMI 분석이란 환자 스스로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현재 치료법의 PFS를 직전 치료법의 질병 진행 또는 치료 실패까지의 시간(TTP, time to progression)과 비교하는 후향적 환자군 내(Intra-Patient) 비교 연구다. 

유의미한 임상 활동의 임계값을 GMI 1.33 이상으로 정의했을 때, 연장된 추적 기간에도 비트락비 치료 환자 140명 중 75%는 이전에 받은 치료 횟수와 관계없이 1.33 이상의 GMI를 나타냈다. 

추가 환자 데이터를 포함한 176명의 확장 데이터셋 분석 결과에서도 70%의 환자가 1.33 이상의 GMI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비트락비의 3개 임상시험(NCT02122913, NCT02637687, NCT02576431)에 등록된 환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사노피, 경기약사학술대화 참가
사노피는 오는 9월 18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제17회 경기약사학술대회 및 27회 팜엑스포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가을 환절기에 더욱 심해지는 알레르기 비염 질환의 인식 제고 및 3세대 항히스타민제 성분의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 알레그라정120mg 에 대한 학술적 내용과 약사들의 복약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는 계획이다.

사노피는 올해 2월 3세대 항히스타민제 성분의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인 알레그라정 120mg을 약국에 출시하며, 알레르기 비염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와 3세대 항히스타민제인 알레그라의 효능ㆍ효과를 알리기 위한 전방위적인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이전 대부분의 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쓰였지만 알레그라는 120mg 용량에 한해 올해 약국 판매용 일반의약품으로 출시됐다. 

이번 팜엑스포 참가를 통해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로서 경쟁력을 높여 국내 알레르기 비염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작았던 일반의약품 시장 확대 기회를 제공하며 약사의 직능확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다양한 요인으로 발병하는 알레르기 비염은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유발하는데,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는 개발 순서에 따라 1-3세대로 분류 구분되며 점점 효과와 부작용이 개선됐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인 알레그라는 이번 팜엑스포의 부스 및 KPA 세미나에 참가하여 약사 대상 알레르기 비염 질환 치료 및 관리와 세대별 항히스타민제의 진화에 대한 교육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한편, 사노피는 이번 알레르기 시즌에 맞춰 알레그라의 신규 광고 ‘환절기 편‘과 ‘반려동물 편‘ 총 2편을 공개했다. 

이번 신규 광고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 상황을 묘사하며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오래 지속되면서도 졸음 부담은 적은 알레그라의 특장점을 강조했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엔 알레그라‘라는 메시지를 담아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이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알레그라정 120mg은 이전 세대의 항히스타민제의 장단점을 더욱 개선, 보완한 3세대 펙소페나딘(Fexofenadine) 성분으로 혈뇌장벽을 통과하지 않고 대뇌피질의 히스타민 수용체(H1) 와 결합하지 않아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꼽히는 졸음 부작용이 적고, 60분 이내에 알레르기 증상 완화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간대사 상호작용이 없어 다른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도 의료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복용할 수 있다.

 특히 알레그라의 처방이 올해 1분기에는 2014년 이후 1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알레르기 비염치료제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사노피 관계자는“이번 경기 팜엑스포를 통해 알레르기 비염 질환 및 치료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약사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적극적인 질환 관리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향후 알레그라의 효능과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 리딩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계획“ 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