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뉴스] 대한약사회가 정부의 일방적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불만을 드러냈다.
편의점 자가검사키트 판매 허용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약사회와 전혀 협의가 없었다는 지적이다.
복지부 장관마저 공석이다 보니 항의할 창구도 없다며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약사회는 25일, 출입기자단 대상 정례 브리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식약처의 편의점 키트 판매 허용 정책에 대한 당혹감을 드러냈다.
정일영 정책이사는 “식약처가 환자들의 자율적인 방역 관리를 위해 키트 판매 확대 정책을 시행한 것 같다”며 “이 과정에서 약사회와 공감은 없었다”고 말했다.
특히 “편의점은 마구잡이로 판촉행사를 하지만, 약국은 그럴 수 없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 일선 약사들이 답답해하는 것을 이해한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정부가 정책을 급히 추진하면서 기존에 있는 법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며 “일방적으로 방역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정부의 코로나19 관련정책에서 불만이 있는 부분이 있다”며 “그러나 복지부 장관이 공석이다 보니 제대로 말할 곳이 없고,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도 소통할 곳이 부족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확진자의 약국 방문이 늘어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사회적 분위기와 방역 정책의 괴리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이사는 “약사회는 회원 약국에 종전 방역지침을 준수해 약국 내 음료 섭취 등을 제한하도록 요청하고 있다”며 “그러나 약사회가 회원들에게 요청하는 부분과 사회적 분위기에 괴리가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으로 방역에 대해 인식이 안이해진 부분이 있다”며 “이로 인해 약국 현장 방역에 우려스러운 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에 “아직 공식적인 위기 경보 단계는 심각 수준인데 이에 대한 인식이 있으면 좋겠다”며 “현 방역지침이라는 그림 내에서 현장의 움직임을 같이 하기엔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비대면 진료 체계에 대해서는 복지부가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이사는 “행정기관은 법에 따라 운영하는 것이 원칙이고, 이를 준수해야 한다”며 “현재 비대면 진료는 비상 상황임을 고려해 운영 중인데, 원칙과 현황을 잘 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비상 시국이 끝난 뒤를 대비하길 바란다”며 “약사회는 정부가 비대면 진료 제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나아가 “비대면 진료 협의체는 아직 멈춰있고, 복지부 장관이 공석인 이유 등으로 재가동의 기미가 안 보인다”며 “국회 원 구성이 마무리됐으니 곧 제도권이 다시 움직이길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