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뉴스] 정부가 오늘(11일)부터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약제비 지원을 중단하기로 한 가운데, '스텔스 환자’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용 부담을 이유로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받지 않는 환자들이 늘어날 것이란 지적이다.
오늘(11일)부터 코로나19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제 중 치료제 이외에는 약제비가 지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선 약사들은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음에도 약제비 지원을 중단한다면 악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약사 A씨는 “약제비 지원이 중단되고 병원비와 약값이 든다고 생각하면 확진 판정 받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스텔스 환자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아직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격리 의무는 유지 중인데, 그렇다면 일용직 노동자나 자영업자, 저소득층은 약제비 지원 중단으로 발생하는 비용도 부담스러울 수 있다”며 “이들은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되는 대신 약국에서 감기 증상이라고 한 뒤 일반 감기약만을 사가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렇게 되면 사회적으로도 매우 안 좋아진다”며 “코로나19 방역의 핵심은 전파를 막는 것인데, 스텔스 환자가 늘어나면 방역체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스텔스 환자가 늘면 약국에서 근무하는 약사들의 감염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약사 B씨는 “스텔스 환자가 늘면 언제 방문했는지 알 수 없는 방문객으로 인해 약국 종사자들의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며 “그렇게 되면 약국 내 방역에 노력을 기울여도 감염을 피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문제는 단순히 약사들의 확진 우려가 커진다는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라며 “잘못하면 약사들이 확진으로 연쇄 격리되고 그로 인해 여러 약국이 문을 닫아야 하는 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총체적으로 고려해서 정부 정책을 결정하면 좋겠다”며 “지금 방역 정책은 현 상황과 반대로 가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한편, 약제비 지원이 중단되면 비대면 진료 플랫폼의 경쟁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이용해 약 배달을 받을 때는 약국을 방문하는 것보다 더 높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약사 C씨는 “플랫폼을 통해 약 배달을 이용하게 될 때 발생하는 약제비가 약국 방문시 발생하는 것보다 비싸다”며 “여기에 배달을 받기 위한 비용이 별도로 책정되는 만큼, 상황에 따라 방문 수령보다 2배 이상의 비용차이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근거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늘고 있지만, 약제비 지원 중단이 이어진다면 비대면 진료 어플 이용자 수가 증가할 것 같지는 않다”고 전망했다.
그 이유로 “대면 진료 환경이 유지되고 있어 비용 경쟁력이 이용자들의 관심을 좌우할 것"이라며 "오히려 일반 약국을 방문하는 것이 경제적이라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