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3:53 (금)
HK이노엔, 인도 등 7개국에 케이캡 수출 계약 체결 外
상태바
HK이노엔, 인도 등 7개국에 케이캡 수출 계약 체결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05.11 1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HK이노엔, 인도 등 7개국에 케이캡 수출 계약 체결

▲ HK이노엔(HK inno.N)은 최근 인도 제약사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7개국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HK이노엔(HK inno.N)은 최근 인도 제약사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7개국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이 전세계 4위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인도를 비롯한 7개국에 신규 진출한다.

HK이노엔(HK inno.N)은 최근 인도 제약사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7개국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수출 계약을 맺은 국가는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및 동유럽 등 총 7개국이다. 

이번 계약 체결로 닥터레디는 제품 출시 후 10년 간 계약 국가 내에서 케이캡을 독점 유통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1984년 설립된 닥터레디는 지난해 기준 연 매출 3조원, 직원수 2만 3000명의 인도 유력 제약사로, 닥터레디의 글로벌 영업망을 통해 인도를 비롯한 신흥시장에서 케이캡의 빠른 시장 점유율 확장이 기대된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특히 인도 진출에 성공함으로써 HK이노엔은 전세계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규모 상위 4개 국가 중 일본을 제외한 중국, 미국, 인도 3개국 모두에 케이캡을 수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인도의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규모는 작년 3분기 누계 기준 약 9000억원으로, 중국(3조 1000억원), 미국(2조 8000억원), 일본(2조 1000억원)에 이어 지난해 4위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동남아시아, 중남미 지역에 이어 동유럽, 아프리카 등 주요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케이캡의 진출 범위를 크게 확대한 것 또한 이번 계약의 큰 성과다.

이들 신흥국들은 소화성 궤양용제를 비롯한 의약품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향후 케이캡의 글로벌 매출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계약으로 케이캡이 기술 수출이나 완제품 수출 형태로 진출한 해외 국가 수는 총 34개국으로 늘어났다.

닥터레디 인도 및 신흥국 담당 라마나(M.V. Ramana) 사장은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은 우리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로, 케이캡의 우수한 경쟁력과 당사의 강력한 영업망이 시장 공략에 있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HK이노엔 관계자는 “올해는 케이캡의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최근 현지 판매에 돌입한 중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매출이 본격 확대될 예정”이라며, “2028년까지 유럽을 포함한 100개국에 케이캡을 수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케이캡은 새로운 계열(P-CAB)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으로, 기존 약물 대비 약효가 나타나는 시간이 빠르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식전 식후에 상관없이 복용할 수 있다.


◇보령, 혈액투석액 용기 업사이클링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보령이 혈액투석액 용기의 업사이클링(upcycling)을 위해 지난 10일, 재활용 전문 업체인 글로벌인프라텍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보령이 혈액투석액 용기의 업사이클링(upcycling)을 위해 지난 10일, 재활용 전문 업체인 글로벌인프라텍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보령(구 보령제약, 대표 장두현)이 혈액투석액 용기의 업사이클링(upcycling)을 위해 지난 10일, 재활용 전문 업체인 글로벌인프라텍(대표 이병락)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보령의 혈액투석액 ‘헤모시스’ PE(폴리에틸렌) 용기는 글로벌인프라텍을 통해 무상으로 회수되고, 글로벌인프라텍의 나노파티클 기술, 항균ㆍ항바이러스ㆍ항곰팡이 기술이 적용된 재활용 과정을 거쳐 화장품 용기 등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그동안 혈액투석액 PE용기는 병원에서 사용된 후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일반폐기물로 버려져 왔다. 또한, 병원에서는 자체적으로 회수 업체를 선정해 위탁 폐기를 진행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령은 위탁 폐기의 번거로움과 환경오염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한편, 재활용률을 더욱 높이기 위해 투석 기업으로서는 국내 최초로 혈액투석액 용기 무상 수거 및 업사이클링을 추진하게 됐다.

헤모시스는 현재 약 385개의 병원에서 월 21만 통 가량 사용되고 있다. 회수된 PE용기는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100% 자원순환 되기 때문에, 현재 사용량 전체가 회수 될 시, 월 118톤, 연간 1416톤의 플라스틱 절감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길순 보령 Renal(신장)본부장은 “재활용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고, ESG 경영 차원에서 이번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됐다”며 “수도권, 부산, 전남권 병원을 시작으로 향후 전국 단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여나가는데 적극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령은 국내 유일의 신장전문회사로, 복막투석액을 비롯해 혈액투석기기, 신장성 약물에 이르기까지 콩팥병 치료에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투석 사업 분야에서 사회공헌의 사명감과 함께, 연구개발과 제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매출 증대로 사업적 성과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GC셀, 국내 최초 고형암 CAR-T CDMO 계약 체결

▲ GC셀은 셀랩메드와 고형암 타깃 CAR-T 치료제의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을 위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 GC셀은 셀랩메드와 고형암 타깃 CAR-T 치료제의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을 위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GC셀(대표 박대우)은 셀랩메드와 고형암 타깃 CAR-T 치료제의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을 위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GC셀은 이번 계약으로 셀랩메드의 고형암 타깃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치료제 ‘YYB-103’의 1상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생산과 품질 시험 등을 수행한다.

CAR-T 치료제는 세포치료제 생산 기술과 유전자 조작을 위한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공정 및 품질관리 기준 설정에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혈액암 대상 CAR-T 치료제만 허가 및 임상 승인되어 있는 상태이며, 셀랩메드는 국내 최초로 고형암(뇌암) 환자 대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을 받았다.

국내에서 고형암 타깃 CAR-T 치료제 임상시험용의약품을 위탁개발생산으로 성공한 사례는 아직 없다. 

이미 양사는 1년 이상 기술이전 및 제품 생산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번에 본계약을 체결, 즉시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에 돌입한다.

이용석 셀랩메드 생산본부장은 “GC셀은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와 위탁개발생산 경험을 모두 보유한 기업으로 ‘YYB-103’ 생산에 최적의 파트너라 생각된다”며, “이번 계약을 통해 1상 임상시험의 빠른 진행과 성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GC셀은 세포ㆍ유전자치료제(CellㆍGene Therapy, CGT) 분야에서 2007년부터 현재까지 축적된 독보적인 제조 실적(Track record)을 보유하고 있으며, 셀랩메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들과 위탁개발생산을 진행중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세포치료제 생산시설 셀센터(Cell Center)에서 제조 실적을 활용한 제조 및 품질시험 노하우를 최신 설비와 시스템에 적용하고 있다.

GC셀은 국내에서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기업 중 최초로 ‘인체세포등 관리업 허가’를 획득했다. 

또한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첨단바이오의약품 품목, 세포처리시설 등을 허가 받아 위탁개발생산에 필요한 모든 가이드라인 구축을 완료했다.

박종원 GC셀 생산본부장은 “이번 계약은 고형암 타깃 CAR-T 치료제의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국내 최초로 위탁개발생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국내 CGT 위탁개발생산 산업의 출발 단계에서 선도기업으로 독보적 위치를 선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GC셀은 최근 GC(녹십자홀딩스)와 미국 세포ㆍ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 기업 ‘BioCentriq(바이오센트릭)’ 공동인수를 통해 아시아와 북미시장을 잇는 위탁개발생산 기반을 확보했다. GC셀은 국내에서 NK와 T세포 파이프라인을 모두 보유한 기업으로, 다국적 제약사에 기술수출을 성공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위탁개발생산 세계 최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