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 오는 26일 합리적인 약가제도 정책 세미나 개최

신약의 가격 책정 과정에서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등 적정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김민석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이 주최하고 협회가 주관하는 ‘제2차 합리적인 약가제도 정책 세미나’를 오는 26일 오후 3시에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정책세미나는 유튜브 ‘김민석TV’ 계정에서 생중계할 예정이다.
지난 9월 개최한 1차 정책 세미나에서는 요양기관이 의약품을 구입하면, 해당 실제 거래가격에 맞춰 약값을 조정하는 ‘실거래가 약가인하제도’의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세미나에서는 해당 제도에서 파생된 중복적인 약가인하 기전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번 2차 정책 세미나에서는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차원에서 거론되는 신약의 합리적 가격 책정 방안에 대한 논의가 주류를 이룰 전망이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며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힘들게 신약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현재 국내 신약 등재 제도는 보험 재정을 절감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적정한 가치 반영이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라는 것이 협회측의 지적이다.
신약의 등재가격이 낮게 책정되다 보니 추가적인 연구개발과 임상 투자가 불가한 상황이며, 특히 국내 약가를 참조하는 외국 진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빈번한 사후관리 제도 적용으로 인해 약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 같은 신약 등재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관련 전문가의 대안이 제시될 예정이다.
먼저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는 ‘K-글로벌 제약바이오 시대를 위한 신약의 가치반영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이어 두 번째 발제는 ‘제약산업 육성과 신약 약가 제도’를 주제로 박성민 HnL 법률사무소 변호사가 발표한다. 이후 송시영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를 좌장으로 패널 토론이 진행된다.
패널은 ▲LG화학 생명과학본부 임상개발센터 이지은 수석연구위원 ▲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안정훈 교수 ▲데일리팜 노병철 팀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산업진흥본부 황순욱 본부장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양윤석 과장 등 산업계와 유관기관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원희목 회장은 “신약 개발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약에 적정한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라며 “이번 정책 세미나에서 제약바이오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의견이 오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휴온스, 분말형 고함량 비타민CㆍB ‘메리트C&B’ 출시

휴온스(대표 엄기안)는 비타민C에 비타민B군 7종, 셀레늄, 아연을 복합 배합한 비타민제 ‘메리트C&B’를 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메리트C&B는 지난해 3월 병의원 전용 제품으로 선 출시해 1년여간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선택을 받아온 제품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전용 제품으로 새롭게 선보인다.
사측에 따르면, 메리트C&B는 하루 한 포로 체내 에너지 생성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B군 7종(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 엽산, 비타민B12)을 일일성인기준치의 100%~400%까지 섭취할 수 있으며, 비타민C, 셀레늄, 아연도 100% 섭취가 가능하다.
비타민B군 7종, 비타민C 원료는 모두 세계적인 비타민 제조사 DSM의 원료를 사용했으며, 프리미엄 원료에만 부여되는 Quali-B, Quali-C 인증의 원료를 100% 사용했다.
메리트C&B는 1박스 60포(2개월분) 구성으로, 흡수가 빠른 분말 제형으로 1포씩 스틱 파우치에 개별 포장되어 있어 섭취와 휴대가 간편하다.
휴온스 엄기안 대표는 “비대면 시대에 병의원에 못 가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손쉽게 메리트C&B를 구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 전용 제품을 출시했다”며 “현대인들이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B군 7종과 비타민C, 셀레늄, 아연을 한 번에 보충할 수 있는 메리트C&B로 활력을 찾기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휴온스 메리트C는 메리트C산 2000mg, 메리트C산 3000mg, 메리트C&D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