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7:42 (금)
유한양행-한솔제지, ‘친환경 패키징 개발’ 업무 협약 체결 外
상태바
유한양행-한솔제지, ‘친환경 패키징 개발’ 업무 협약 체결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1.08.31 2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한양행-한솔제지, ‘친환경 패키징 개발’ 업무 협약 체결

▲ 유한양행과 한솔제지는 31일 서울 동작구 유한양행 본사에서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키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유한양행과 한솔제지는 31일 서울 동작구 유한양행 본사에서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키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유한양행과 한솔제지는 31일 서울 동작구 유한양행 본사에서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키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와 한철규 한솔제지 대표이사 등 양사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고자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는 양사의 의지가 일치함에 따라 추진됐다. 

두 회사는 앞으로 유한양행의 의약품 및 생활용품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종이 패키징 소재 개발 및 도입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게 된다.

특히 기존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하여 친환경성과 보존성을 높인 종이 패키징 소재를 개발해 유한양행의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일상 생활에서 쉽게 자원 순환에 동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유한양행은 국제적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인 ISO 45001을 구축하고 2009년 최초 지정 받은 녹색기업 인증을 지속 유지하고 있는 등 제약업계에서 대표적으로 친환경 경영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한솔제지는 재생펄프를 활용한 패키지 용지를 비롯, 연포장이 가능한 종이포장재 프로테고(Protego)와 PE free 종이용기 테라바스(Terravas) 등 친환경 소재 개발에 노력해 왔다.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는 “앞으로도 유한양행은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한 우수 의약품 개발은 물론, 미래를 위한 친환경 경영에 더욱 힘쓸 것”이라며 "친환경 제품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한솔제지와의 협력을 통해 큰 시너지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GC녹십자셀, 해외진출 위한 국제 특허출원 완료
GC녹십자셀은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이뮨셀엘씨주 제조방법과 메소텔린 타깃 CAR-T 특허를 각각 PCT(특허협력조약) 국제출원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뮨셀엘씨주 제조방법은 지난해 7월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IK)를 포함하는 활성화 림프구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고, 이번 PCT 국제출원을 통해 미국, 중국, 인도시장에 진출하고자 한다. 해당국에서 이미 다수의 파트너들과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특허에 기술된 제조방법은 높은 종양 살상 능력과 증식률을 가진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IK)로 자연살해(NK)세포처럼 NKG2D분자를 활용하여 암세포를 인지, 사멸하는 면역세포치료제 제조법이다. 

이 기술을 적용한 ‘이뮨셀엘씨주’는 국내에서 2007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획득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올해 2월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한 ‘메소텔린 특이적인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및 이를 발현하는 T세포’는 지난달 미국,  유럽, 중국, 일본에 대한 PCT 국제출원을 완료했다. 

이 CAR-T치료제는 췌장암 대상 동물실험에서 획기적인 결과를 나타냈고, 내년 상반기 미국에서 임상 진입을 위한 준비작업이 진행중이다.

CAR-T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항암제 분야로 현재까지 허가된 치료제는 혈액암에 한정되어 있고, 진행중인 연구 역시 고형암 분야의 성과가 아직 미진하여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큰 분야이다.

GC녹십자셀 이득주 대표는 “GC녹십자셀은 국내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해외 시장 진출 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특히 이뮨셀엘씨주 관련하여 미국, 중국, 인도시장에서 다수의 파트너들과 기술이전 협의가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모두 잠재력이 매우 큰 매력적인 시장으로 이번 PCT 국제출원을 통해 독립 배타적 권리를 확보하게 된다”면서 “또한 메소텔린 타깃 CAR-T 특허 역시 4개 국가에 PCT 국제출원을 완료했고, 글로벌 시장의 메인 무대인 미국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GC녹십자셀은 면역항암제 이뮨셀엘씨주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미국 현지법인 노바셀을 통해 췌장암 타깃의 CAR-T치료제 미국 임상시험 진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CAR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범용 가능한 기성품(Off-The-Shelf) 형태의 동종 CAR-CIK(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