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2건中 12건 일부 반영…대변기관 ‘무색’

24일 2005년도 제약협회 대정부 정책건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협회가 정부기관에 제출한 정책건의안은 1월 보건복지부와 국무조정실에 제출한 ‘의약품 소포장 의무화에 대한 의견’을 비롯해 모두 22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정부의 정책결정에 ‘반영’된 것은 ‘약사법시행규칙 개정 의견’, ‘앰피실린(Ampicilline) 주사제 생산원가보전 요청 건의’ 등 7건이었으며, 현재 ‘검토’ 중인 안은 6건, ‘일부반영’ 4건, ‘미반영’ 4건, ‘의견반영’ 1건 등의 순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정책건의안 반영률이 30%를 조금 넘는 수준에 불과한 것. ‘일부반영’과 ‘의견반영’을 포함해도 50%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조세특례제한법 중 R&D 세제확대 건의’, ‘실거래가 사후관리 운영 관련 개선 건의’ 등 정작 업계의 현안에 대해서는 업계의 입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24일 제약협회가 정기총회에 제출한 사업보고서 정책건의 주요내용에 따르면, 결과에 대한 언급은 전체 22건 중 4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검토중’, ‘협회의견 반영’ 등 구체적인 내용 설명 없이 짤막한 문구로만 기재해놓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제약협회의 대정부 정책건의안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제약협회가 업계의 입장을 대변해 정부와 맞닥뜨린 적이 몇 번이나 되느냐”고 반문하면서 “협회 임원에 정부측 인사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현 시스템 상 협회에 많은 것을 요구하기란 애당초부터 무리”라고 말했다.
다른 제약사 관계자도 “현 제약협회는 복지부, 식약청 등 관련 정부기관의 눈치 보기에만 급급한 상황”이라며 “정책건의안 제출도 업계의 필요에 의해서보다는 일종의 전시효과를 위한 단발성 행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그는 또 “올해 업계 최대 현안인 한-미 FTA 협상에 업계의 의견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제약협회 관계자는 “협회의 대정부 건의 내용이 모두 반영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 아니냐”며 “협회는 업계의 의견을 최대한 대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현재 검토중인 사안도 6건에 이른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가 지난해 정부기관에 건의 반영된 내용은 ▲의약품 소포장 의무화에 대한 의견(제출일: 1.12, 일부반영) ▲약사법시행규칙 개정의견(1.17, 반영) ▲Ampicilline 주사제 생산원가보전 요청 건의(3.10, 반영) ▲바이오스타 프로젝트 세부계획 추진안 행정예고에 대한 의견(3.15, 반영) ▲의약품 유통일원화 위반에 따른 행정처분 감면 건의(3.31, 일부반영) 등이다.
또 ▲기타의 자양강장변질제의 의약품 재평가 자료제출 개선 건의(5.4, 의견반영) ▲생물학적제제등 허가 및 심사에 관한 규정 개정 의견(6.28, 일부반영) ▲약가재평가 기준 관련 건의(10.5, 반영) ▲의약품 제조시설을 식품의 제조·가공시설로 이용시 건강기능식품이 식품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유권해석 건의(10.20, 반영-포함 유권해석) ▲약가재평가 대상품목 선정관련 건의(10.20, 반영) ▲의약품의 성상 표기에 대한 가이드라인(안)에 대한 의견(10.21, 일부반영) ▲양도·양수품목의 약가등재 관련 건의(11.24, 반영) 등도 포함됐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