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다케다제약이 신약 개발이 어려운 표적에 대한 저분자 의약품을 발굴하기 위해 미국 생명공학기업 브리드진 바이오사이언스(BridGene Biosciences)와 협력관계를 맺었다.

브리드진 바이오사이언스는 30일(현지시각) 다케다제약과 전략적 연구 제휴 및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제휴를 통해 다케다와 브리드진은 신약 발굴 프로그램 5건에 착수할 계획이다.
양사는 브리드진의 독자적인 IMTAC(Isobaric Mass Tagged Affinity Characterization) 화학단백질체학 플랫폼을 활용해 표적 및 저분자 약물 후보물질을 발견하고, 이후 다케다가 치료 후보물질 개발 및 임상 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브리드진은 화학단백질체학 플랫폼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에서 다양한 단백질과 저분자의 상호작용을 식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파트너십 조건에 따라 다케다는 브리드진에게 IMTAC 기술 이용에 관한 기술료를 지급하기로 했다.
다케다는 선택한 표적에 대한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된 모든 신약 후보물질을 연구, 개발, 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 라이선스를 갖게 된다.
브리드진은 차후 다케다로부터 5억 달러 이상의 전임상, 임상, 상업 마일스톤과 매출에 따른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
이 제휴는 작년에 브리드진이 다케다와 성공적으로 완료한 파일럿 프로젝트에서 확장된 것이다.
새 파트너십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기저에 있고 표현형 스크린에서 저분자에 의해 수정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 질병 표현형에 관여하는 표적을 식별하는데 초점을 둔 초기 연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다케다는 이외에 추가적인 연구 프로그램 4건을 시작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브리드진 바이오사이언스의 핑 차오 CEO는 “다케다와의 이번 제휴는 브리드진에게 중요한 이정표"라며 "우리는 이 제휴가 화학단백질체학 기술에 대한 자사의 선구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여러 발굴 및 개발 기회에 대한 파트너십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신약 발굴 및 개발 접근방식에는 개발이 어려운 표적에 결합하는 공유 저분자를 이용하고 화학단백질체학을 활용해 살아있는 세포에서 저분자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두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면서 "이 두 요소를 결합해 질병 발병 및 진행의 특성을 유발하는 표적을 결정하고 살아있는 세포에서 저분자 약물 후보와 상호작용하는 표적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선도물질을 빠르게 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케다 신경과학의약품발굴부 총괄 세리 데이비스는 “브리드진의 새로운 화학단백질체학 플랫폼에 대한 접근성은 쇠약성 신경장애의 기저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는 신약 후보물질을 빠르게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이러한 파트너십은 신경과학 질환에 대해 정밀의학 접근법을 추구하는 자사 R&D 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