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 김구 회장은 소화제나 진통제 등 약국외 판매에 거론되는 품목들이 의약외품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라도 (약국밖으로)나가지 않는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김구 회장은 12일 신년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사업방향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회장은 “그동안 의약부외품으로 바뀌어 약국밖으로 나간 경우가 있었지만 소화제나 진통제, 해열제, 종합감기약 등은 의약외품으로라도 나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는 약사사회 일각에서 만약의 경우 일부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가 결정되면 해당 의약품은 의약외품으로 전환돼 나갈 수 있다는 전망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 전망은 의약외품으로 전환돼야 약사들의 의약품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유지할 수 있다는 논리였다.
김회장은 더불어 “약국외 판매는 1993년부터 이야기가 나왔고 대통령의 한마디에 일부 단체들과 기획재정부 등이 호도하고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최근 상황을 평가했다.
또 “최근 약국외 판매를 주장하는 단체들은 알만한 단체들이 아니라 이런 기회를 활용하려는 단체들”이라며 그 의미를 축소했다.
“약국외 판매는 결국 슈퍼마켓이나 대형마트가 아니라 편의점에서 약을 팔자는 논리”라는 김회장은 “노숙자들이나 청소년들이 드나들고 아르바이트생들이 자리를 지키는 편의점에 약을 맡길 수 없다”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관계당국과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세를 주도하는 인사들을 밤낮으로 만나 협의하고 있다”며 “더 중요한 것은 내부적으로 마음을 모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23일 긴급 전국 지부장회의를 연다는 설명이다.
약국외 판매를 막기 위해 시작한 심야응급약국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밖에 없는 제도로 어쩔 수 없는 고육지책으로 여건이 안 되는 지역은 어쩔 수 없다”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블루약국 중심으로 새벽 2시까지 운영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회비지원 뿐만 아니라 법률적 지원과 지자체의 행정·재정 지원 등을 최대한 이끌어 내겠다”는 김회장은 “지자체에서 먼저 적극적으로 운영과 지원에 나서는 경우도 있다”고 소개했다.
그럼에도 “심야약국이 목적이 아니다”며 “추이를 봐가면서 운영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해 정리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심야약국 폐지가 법률·행정지원 체계가 정리된 이후에 결정되면 사회적으로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김회장은 최근 부산지역 약사포럼에서 실시하고 있는 ‘회무 1년 평가 설문조사’와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의 16일 김구회장 약국 앞 시위에 대해 “개인적인 행동”이라고 평가절하하는 입장을 보였다.
설문조사는 일부 인사들이 개인적으로 추진할 뿐만 아니라 평가틀도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약준모의 시위도 상대할 가치가 없다는 태도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