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문전달안돼 약사감시 수 차 적발

지역 소분회들이 약국 관리를 소홀히 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약사회 정책이나 관련 기관의 정책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해 약사감시로 적발돼 피해를 보고 있다.
10일 전라남도 장성군 N약사는 “유통기한이 지난 약품 보관방법이나 향정류 취급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너무 늦다”고 불평했다.
그는 “2달에 한번 약사모임을 가지는데 그 때서야 비로서 약사정책을 들을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 이 약사는 다른 지역 분회장의 약사 감시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약품을 다른 약품과 같이 진열하고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혼합 진열, 향정류 관리 문제 등으로 수 차례 지적을 받았다.
정책이 바뀌어도 바뀐 정책을 전달 받지 못해 다음 약사감시에 지적을 받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N약사는 “공문이 바로 전달돼야 대처해 나가야 어떤 내용을 조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며 감시에 적발된다는 것은 무척 기분이 상하는 일" 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또 반품 문제도 심각하다.
약사회가 반품사업을 시행해도 각 분회장의 적극적인 활동이 없기 때문에 군 지역 회원들은 반품은 엄두도 못 낸다.
강원도 한 분회 약사는 “군 지역 약국의 반품은 꿈도 못 꾼다”고 말했다.
약국 창고마다 재고 약이 쌓여도 개인 단위로 도매상이나 제약사를 통해 거래할 뿐 약사회의 힘을 빌릴 수 없기 때문이다.
약사회는 각종 공문은 전화로 받거나 대한약사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도록 전달받고 있지만 약사회 홈피에 올리는 공문은 너무늦고 일일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것.
강원도 한 군 분회 회장은 “약국을 운영하면서 약사회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회원들에게 세세한 것까지 신경쓰지 못하는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약사회를 운영하려면 회비가 필요한데 10여개의 약국에서 그 돈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느냐”면서 “어려움이 많다”고 어려움을 하소연했다.
이에 지역 소분회 약사들은 공문전달 체계의 확립과 도약이나 시약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약뉴스 박진섭 기자(muze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