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발표 이전 구체안 나와

6일 공단 관계자는 “원주는 구성원들이 나름대로 선호하던 도시다”며 “건교부와 균형발전위에서 심의를 통해 입지선정이 문제없으면 부지이전이 인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공단본부 구성원들은 모두 원주로 옮기는 것이 원칙이다”며 “특정부서나 인력이 잔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울본부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강원도가 13개 기관에 대해 의견수렴을 받아 구체적인 위치와 면적을 결정하면 해당기관이 부지 매입과 설계에 들어간다는 것.
또다른 관계자는 “강원도지사가 이전기관을 다른 지역에 분산배치 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하고 “혁신도시외의 지역에 이전하려면 건교부와 균형발전위의 심의에서 납득할만한 사유가 인정돼야한다”고 밝혔다.
원주사옥은 현 사옥보다는 넓게 활용되고 직원숙소 등 복지시설이 반영될 예정이다. 공단은 이전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현 사옥을 매각할 방침이다.
이전 일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2006년에 부지매입과 기본설계가 정리되면 2007년 착공해서 2012년에 이전 완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심평원은 전체적으로 공단과 비슷한 입장과 일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심평원은 요양기관심사가 주 업무이고 근거리심사가 원칙이다. 이 때문에 현재 본원의 인력 중에서 서울지역 요양기관 심사에 종사하는 인력들은 이전에 포함되지 않고 상당수가 서울지원에 흡수될 예정이다.
심평원 현 사옥은 매각하지 않고 서울지원이 사용하고 잔여공간은 임대할 계획이다. 서울지원은 현재 전경련회관 일부를 임대해 사용하고 있다.
공단, 심평원과 함께 원주로 이전할 적십자사와 의료복지공단은 별다른 입장이 없는 상황이다.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nicebong@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