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노바스크, 베타차단제比 대동맥혈압 낮춰
상태바
노바스크, 베타차단제比 대동맥혈압 낮춰
  • 의약뉴스
  • 승인 2005.11.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이자, CAFÉ연구 AHA 연례회의서 발표
화이자의 고혈압 치료제 노바스크®(성분명: 암로디핀 베실레이트)를 투여한 고혈압 환자가 베타 차단제를 투여한 환자보다 대동맥 혈압 저하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FE(Conduit Artery Function Evaluation)연구로 명명된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 달라스에서 열린 미국심장학회(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연례 회의에서 소개됐다.

이 연구는 ASCOT-BPLA(Anglo-Scandinavian Cardiac Outcomes Trial-Blood Pressure Lowering Arm)의 하위 연구로, 노바스크와 아테놀올 두 가지 각 고혈압 치료 요법이 말초 혈압 측정과 비교해 대동맥 혈압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다.

노바스크 투여군은 추가적으로 혈압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nhibitor)인 페린도프릴(perindopril)과 알파차단제인 카두라 XL(독사조신 GITS)을 추가 투여했고, 베타-블로커인 아테놀올 투여군에는 필요한 경우 이뇨제인 시아자이드(thiazide)와 카두라 XL(독사조신 GITS)을 투여했다.

연구결과, 노바스크 투여군은 아테놀올 투여군에 비해 대동맥에서 측정한 중심 수축기 혈압(central systolic blood pressure)은 4.3mmHg, 중심 맥압(central pulse pressure)은 3.0mmHg 이상 저하시켜 대동맥 혈압을 유의하게 강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발표한 영국 레스터(Leicester)의대 순환기내과 브라이언 윌리엄(Bryan Williams) 박사는 “CAFE 연구는 고혈압 치료제들이 말초 혈압에는 유사한 영향을 미칠지라도, 대동맥 혈압에는 현저하게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한 중요한 연구”라며 “암로디핀 베실레이트 투여군이 아테놀올 투여군에 비해 대동맥 혈압을 낮추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윌리엄 박사는 또 “이번 연구결과는 ASCOT 연구에서 발견된 심혈관 및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관련된 모든 혜택과 함께 고혈압 치료 가이드라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CAFE 연구에는 영국과 아일랜드에 소재한 5개 ASCOT-BPLA 연구 센터에서 모집된 약 2,200명의 고혈압 환자가 참여했다. 대동맥 혈압은 정밀도가 입증된 측정 방법으로,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맥압(pulse pressure)에서 계산됐다.

화이자 메디컬 및 경제성 평가연구(Outcomes Research) 부문 수석부회장 마이클 베레로위츠(Michael Berelowitz) 박사는 “CAFE 연구는 서로 다른 고혈압 치료 요법이 심혈 관계에 가지는 이점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며 “이번 결과는 노바스크가 고혈압 환자에 있어 심혈관 위험을 예견하는 중대하고도 독립적인 지표인 대동맥 혈압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