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전용카드로 실거래가 파악도

내년부터 의약품 바코드 활용이 강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 의약품정책팀 송재찬 팀장은 17일 “의약품 유통현대화의 기반을 조성하여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코드 활용을 강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팀장은 이날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약가 투명화에 관한 정책토론회’에 참석, “의약품 바코드 표시 및 관리요령(복지부고시)에 따라 국내 의약품 제조업자와 수입자는 바코드를 부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 팀장은 이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코드 정보 DB에 따르면 391개소 67,208개 품목이 여기에 해당 된다”고 구체적인 숫자를 언급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제조업자·수입자 바코드 부착 현황과 유통과정상의 활용실태 및 애로점 파악에 들어갔다.
또 현장방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등록정보 DB 업데이트 및 의약품 바코드 활용 강화방안을 관련 기관들과 협의해 의약품 바코드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송 팀장은 또 약가 투명화를 위해 의약품구매전용카드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약품구매카드를 통해 실거래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
한편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실 이의경 선임연구위원은 실거래가제도 운영의 문제를 지적하며 저가 구매 인센티브제를 주장했다.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신형근 정책국장은 신약 약가결정 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다국적의약산업협회 심한섭 부회장은 신약의 상한금액 산정기준을 명확히 할 것을 주장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수경 약가분석부장은 “약가산정 기준을 보충 하고, 실거래가 사후 관리는 실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제약협회 갈원일 상무는 “정부와 시민단체의 지나친 규제는 제약업계의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한나라당 간사인 박재완 의원이 진행했다.
의약뉴스 박진섭 기자(muze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