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눈치보기 ‘급급’…업계 “손해는 결국 우리” 인식

국내 제약사의 시민단체 눈치 보기가 극에 달하고 있다. 이는 최근 잇따른 시민단체의 주장에 곤혹을 치르면서 비롯된 것.
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시민단체가 기능성음료와 일반의약품 드링크에 대해 방부제(안식향산나트륨) 첨가를 문제 삼은데 대해 동아제약이 방부제 최소화 입장을 밝혔다.
동아제약은 이와 관련 최근까지도 국내 기준에 맞게 적법하게 생산된 만큼 문제될 게 없다며 소극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미 무방부제에 대해 신중한 검토를 하고 있다는 입장을 시민단체에 전달했지만, 의도와는 달리 외부에는 소극적으로 비춰줬을 뿐”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한 뒤 “2일 시민단체를 직접 찾아 무방부제 지향(指向)의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광동제약, 롯데칠성음료, CJ, 종근당, 삼성제약, 조아제약 등은 방부제 사용량 최소화와 사용 중단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현재 전체 대상 12개 업체 가운데 8개 업체가 무방부제 지향 입장을 밝혀왔다”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관련 문제에 대한 진행 상황 등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이 단체가 처음 제기했던 안식향산나트륨 첨가 문제는 시민단체의 의도대로 귀결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실제로 시민단체가 이 문제를 처음 제기했을 때는 시민단체가 국내 기준은 무시한 채 무리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며 업계는 물론, 여론도 이에 호의적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이 문제가 어떻게 정리될지 알 수 없지만, 이번에도 시민단체의 압박에 제약사들이 결국 백기를 든 꼴이 됐다”고 말했다.
이같은 제약사들의 몸사리기는 원인이 어찌 됐든 관련 논의가 길어질 경우, 결국 업체 입장에서는 전혀 득될 게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는 게 업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러한 문제들이 불거질 때마다 업체 입장에서는 결국 이에 따르지 않을 도리가 없다”며 “결국 손해를 보는 건 업체 자신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제약업계 일각에서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건강드링크 시장을 견제하기 위해, 모 업체가 이를 시민단체에 사주했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는 상태다.
드링크를 생산하는 업체 관계자는 “현재 업계에는 자사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모 업체가 시민단체에 이를 흘렸다는 웃지 못할 소문까지 횡행하고 있는 상태”라며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정말 소비자의 입장에서 이 문제를 제기했다면, 업체와 브랜드 죽이기식의 발표는 지양(止揚)해야 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국민의 알권리와 보건을 위한다는 원칙에 따른 행동”이라며 일부의 업체 죽이기 시각을 경계한 뒤 “관련 기관들이 모여 합리적인 개선책에 대해 함께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이 단체는 PVC수액백과 관련 인체유해성을 주장, 결국 PVC수액백 생산업체와 식약청의 항복을 이끌어 낸 바 있다.
당시에도 식약청과 관련 업계는 앞서 실시한 실험결과 인체유해성에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펴다, 슬그머니 시민단체의 주장대로 non-PVC화 하기로 입장을 정리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손님은 왕’, ‘고객은 왕’이라는 말이 있지만, 요즘 제약업체의 왕은 시민단체라는 우스개 소리도 한다”면서 “국민들과 업계의 입장에서 주관적인 기준이 아닌, 좀 더 객관적인 기준에서 주장을 폈으면 한다”고 아쉬워했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