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16:58 (월)
시애틀제네틱스, 엔포투맙 베도틴 연내 승인신청 추진
상태바
시애틀제네틱스, 엔포투맙 베도틴 연내 승인신청 추진
  • 의약뉴스 이한기 기자
  • 승인 2019.03.29 06: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 2상 긍정적...진행성 방광암에 효과

시애틀 제네틱스(Seattle Genetics)와 아스텔라스제약(Astellas Pharma)이 올해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엔포투맙 베도틴(enfortumab vedotin)의 승인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생명공학기업 시애틀 제네틱스와 일본의 아스텔라스제약은 28일(현지시간) EV-201라는 임상 2상 단일군 임상시험의 첫 환자 코호트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이 코호트에서 엔포투맙 베도틴은 백금 함유 화학요법과 PD-1 또는 PD-L1 억제제로 치료를 받았던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평가되고 있다. 요로상피세포암은 가장 흔한 유형의 방광암이다.

시험 결과 눈가림된 독립적 중앙 검토에 따른 객관적 반응률(ORR)이 44%로 나타났다. 반응 지속기간은 이전에 실시된 임상 1상 시험에서 보고된 것과 일치했다.

가장 흔한 치료 관련 이상반응으로는 피로, 탈모, 식욕 감소, 발진, 말초 신경병증 등이 관찰됐다. 이 연구 자료는 향후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엔포투맙 베도틴은 요로상피세포암을 비롯한 많은 고형 종양에서 고도로 발현되는 치료 표적인 넥틴-4(Nectin-4)를 표적으로 삼는 항체-약물접합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임상 1상 시험의 예비 결과를 토대로 엔포투맙 베도틴을 PD-1 또는 PD-L1 억제제 치료 도중이나 이후 병이 진행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를 위한 혁신치료제로 지정한 바 있다.

시애틀 제네틱스와 아스텔라스는 올해 안에 EV-201 임상시험 자료를 기반으로 FDA에 생물학적제제 허가신청(BLA)을 제출할 계획이다. 두 회사는 현재 글로벌 무작위배정 임상 3상 시험인 EV-301 연구도 진행 중이다.

시애틀 제네틱스의 로저 댄시 최고의학책임자는 “최근 다수의 면역관문 억제제들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치료제로 승인되기는 했지만 초기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 이후 진행된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향한 미충족 수요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이 연구 결과는 엔포투맙 베도틴이 표준 화학요법과 PD-1 또는 PD-L1 억제제 치료 이후 진행된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를 도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아스텔라스 항암제개발부 글로벌치료분야 총괄 스티븐 베너 수석부사장은 “백금 함유 화학요법과 PD-1 또는 PD-L1 억제제 치료 이후 진행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의 경우 승인된 표준 치료 옵션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료는 매우 고무적이며 이를 놓고 보건당국들과 논의하는 것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